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제강점기 속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고 우리말을 지키려고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말모이의 줄거리, 조선어학회 사건, 주시경 선생의 업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줄거리
1940년 일제강점기하에 일본의 탄압은 점점 심해져 가고,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의 하나로 한국인들에게 일본어를 강요하며, 일본 당국은 학교와 공공장소에서 한국어의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존경받는 문학 교수인 김판수(유해진 분)는 조선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기 위한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언어는 민족의 뿌리고 이러한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후대에 남겨줄 역사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김판수는 한국어의 풍부한 어휘와 뉘앙스를 기록하고 보존하면서, 비밀리에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기로 결심합니다. 하지만 우리말 사전을 혼자 완성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열정과 결의를 공유하는 헌신적인 사람들을 찾아 나섭니다. 뛰어난 언어학 전공자 이윤호(고아성), 카리스마 넘치는 청년 안해진(박해일), 재능 있는 예술가 정인주(정연주)를 포함해 사전을 만들 수 있는 여러 사람을 모으게 됩니다. 일본의 삼엄한 감시에도 비밀리에 사전을 만들면서 수많은 위험한 상황에 직면합니다. 하지만 사전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이들은 미래의 자유롭고 독립적인 조선에 대한 희망을 드러내며 사전을 계속 만들어 나갑니다. 드디어 1945년 일본의 통치로부터 조선은 해방되고 그들이 열심히 만들어 온 사전은 세상에 나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의 사명이 아니었으면 태어나지 못했을 조선말 사전은 수십 년간 일제 치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후대에게 생생한 조선말을 전해줄 수 있었습니다. 이 영화는 언어와 민족과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우리 민족의 위험에 무릅쓰지 않는 용기와 회복력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조선어학회 사건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조선어학회 사건은 1931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조선어 및 한글 억압 정책과 관련된 사건입니다. 조선어학회는 한글 및 조선어를 연구하고 보존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학술 단체로 조선 언어와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글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일본의 지배하에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억압하고 외면하려는 정책과 부딪혔기 때문에 일본은 조선어학회를 국가보안을 위협하는 선동 단체로 비난하며, 단체 활동을 금지하고 회원들을 체포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당시 조선인들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을 탄압하고 억압하는 한편, 일본 제국의 힘과 통제를 강화하는 데 일조한 사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조선어학회 사건은 한국 역사에서 일본의 문화적 억압과 언어정책에 대한 반대와 저항의 사례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인들의 민족성과 정체성에 대한 열망과 일본의 지배로부터의 독립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선어학회 사건은 한국인들의 민족 정체성과 역사적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사례 중 하나로 남았습니다.
주시경의 업적
주시경(朱熙經, 1856년~1936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로서 조선 말기에서 일본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이끈 인물 중 하나입니다. 주시경은 조선의 독립과 자주를 위해 힘썼으며, 그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많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단결시켰습니다. 그의 업적은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의 이름은 독립과 희생을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남아있습니다. 주시경 선생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주 서라벌 항일운동: 주시경은 1907년에 제주도에서 '서라벌 항일 선언'을 통해 제주도민들을 일으켜 일본의 식민 지배에 저항하였습니다. 이는 조선인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온 항일운동 중 하나로, 주시경은 이를 주도하여 항일운동의 중심인물로 활동하였습니다.
2. 통감호 일본 대사관 폭파 사건: 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의 독립선언이 나오는 날에 주시경은 서울 종로구 통감호 일본 대사관을 폭파하는 작전을 주도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상징하는 사건 중 하나로 꼽히며, 주시경은 이를 통해 민족적인 의지를 표현하였습니다.
3. 만주 독립운동: 주시경은 만주 지역에서도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만주 지역은 일본의 침략과 식민 지배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 곳으로, 주시경은 현지에서 독립군을 조직하고 민족운동을 지원하였습니다.
4. 국제 활동: 주시경은 조선 독립운동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도움을 청하는 데도 노력하였습니다. 그는 해외 독립운동 단체와 연락을 유지하며 조선의 독립을 위해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