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하이스틸
[29.97%, 12,950K]
[연관섹터: 강관업체, 남-북-러 가스관사업]
한일철강(주)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강관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당진공장 준공으로 기존 ERW 강관에서 SAW 강관까지 생산하는 생산체제를 갖춤으로써, 세경관, 소경관부터 원유, 가스수송이 가능한 60인치 대구경 후육강관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종속회사로는 HISTEEL PIPE&TUBE INC., (주)하이파워 등이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중국 등 일부 국가의 철강생산을 겨냥해 새 관세를 도입하는 방안 논의 중이다. 하이스틸은 미국 휴스턴에 철강제품을 판매를 위한 해외법인을 세운 바 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282622
2. 율촌
[29.89&, 943K]
[연관섹터: 강관업체, 철강 중소형]
인발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차 완충용 장치, 조향장치 및 현가장치에 쓰이는 다양한 규격의 인발강관을 제조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유럽, 북중미 등 14개국 80여 개의 고객사를 확보하여 글로벌 고객사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 첫 날 상한가
천만주 종목
1. 피델릭스
[6.25%, 123,516K]
[연관섹터: 스마트폰, 휴대폰 부품]
메모리 반도체 중 모바일 폰의 Buffer Memory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설계 및 판매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팹리스 전문회사로서 모바일 디램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생산시설이 없는 팹리스 업체로, 제품 생산을 위한 파운드리 거래처 확보는 사업 추진에 있어 필수적으로 중요한 요소다.
중국이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55조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한다고 발표해 며칠간 주가가 올랐으나 최근 화웨이 칩 사건으로 SMIC이 미국의 제재를 위반한 것에 조사가 필요성을 언급해 주가가 하락했다.
http://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09080415024522cd1e7f0bdf_23
2. 스킨앤스킨
[18.81%, 74,214K]
[연관섹터: 화장품]
OLED 소재 및 승화정제장비 개발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그 이후에 화장품 OEM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스킨앤스킨과 합병하며 주요 사업을 변경했다. 코로나 방역사업을 위해 관련제품 및 마스크 생산설비를 구축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다. 커머스 사업을 위한 소규모 합병을 추진하여 의류, 잡화, 화장품 등을 중국에 판매하는 라이브커머스 사업을 진행중이다.
외인들의 보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주가상승(추정)
https://finance.naver.com/item/frgn.naver?code=159910
3. 휴림로봇
[-1.34%, 34,616K]
[연관섹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3D 프린터]
산업용 로봇(제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서비스 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방용 로봇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제조업용 로봇은 직각좌표로봇, 수평다관절로봇, 데스크탑로봇, 반도체용로봇, 리니어스테이지 등이 있다.
두산로보틱스 상장에 대한 관심으로 로봇주가 부상되었지만 휴림로봇은 사업의 주 로봇이 제조업용이고 지배구조가 확실하지 않아 주가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인산가
[8.60%, 34,523K]
[연관섹터: 탈모 치료, 음식료업종]
죽염 및 죽염응용식품 제조, 유통 업체로 오랜 기간 최고 품질의 죽영과 죽염응용식품을 개발,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죽염을 산업화한 기업으로 죽염시장 내에서 1위를 확고히 고수, 죽염 및 죽염응용식품의 대중성 확보를 위해 생활식품과 관련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종합식품 대기업과의 Co-Marketing을 통해 브랜드 홍보 확대 및 유통경로 전용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한 소금 관련주 급등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56
5. 샤페론
[22,87%, 33,866K]
[연관섹터: 치매, 코로나19(진단, 치료제, 백신 개발 등)]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비임상이나 임상단계에서 기술이전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개발한 GPCR19-P2X7-NLRP3 염증복합체 억제제 플랫폼 및 기존 항체 치료의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나노바디 항체 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신약개발재단으로부터 COVID-19 폐렴 치료제에 대한 임상 개발비를 지원받아 다국적 2b/3상 임상을 수행하고 있다.
FDA에서 아토피 치료제(누겔)의 임상 2상 시험계획을 승인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158
6. 유진로봇
[13.97%, 28,183K]
[연관섹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DMZ 평화공원]
지능형 서비스 로봇 등 판매, 제조를 영위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과 청소로봇 부문,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주행솔루션 부문은 고카트, 라이다센서, 로봇자동화 패키지 등의 사업이 있고, 청소로봇 부문은 아이클레보 오메가, 아이클레보 지니 등이 있다.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의 사업분야는 반도체와 자동차 부품의 조립검사 시스템을 공급하는 사업분야로 나누어져있다.
로봇주의 강세 속에 LG유플러스와 함께 물류로봇 고카트를 접목한 배송 사업 영역으로 확장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5274
7. KG케미칼
[19.02%, 25,406K]
[연관섹터: 요소수, 비료]
건설소재와 비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감수제, 유지제, 혼화제 등 건설관련 화학소재사업과 친환경 유기질비료, 천연성분 작물보호제, 미생물 제재 친환경 농자재 등의 생명농업사업을 전개 중이다. 연결기업은 사업의 성격에 따라 9개 부문(철강, 자동차, 화학, 에너지, 전자결제, 미디어 및 금융, 교육, 요식업, 임대)으로 분류했다.
중국 정부가 현지 비료 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https://www.fnnews.com/news/202309081017553456
8. HB테크놀러지
[-12.70%, 24,498K]
[연관섹터: 2차전지(장비),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국내 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LCD 백라이트 유닛인 도광판확산판을 제조 및 판매하는 소재사업을 추가했으며,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대만의 INNOLUX 등이 있다.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해 AMOLED 검사장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주요 매출품목으로 성장했다.
전기차 배터리 검사장비인 셀비전검사기를 삼성 SDI에 독점 공급 중으로 주가 상승했으나 외인들이 매수 매도함에 따라 주가가 하락했다.
http://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09080758263736cd1e7f0bdf_23
9. 시큐센
[3.08%, 20,918K]
[연관섹터: 핀테크, 바이오인식(생체인식)]
핀테크 보안기술 전문업체로 아이티센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모바일 보안 전문업체인 바른소프트기술과 합병했다. 시스템통합(SI)사업자 아이티센의 자회사이다. 매출의 대부분이 모바일 서비스 및 솔루션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통신사와 카드사 등을 대상으로 로그인 도용방지 서비스, 전화번호 안심 로그인 서비스, 인증서 유출방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양자내성암호기술을 활용한 앱아이언스위트 출시 발표
http://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09080410338524cd1e7f0bdf_23
10. 이랜시스
[-8.81%, 20,545K]
[연관섹터: 보안주(물리),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보안 솔루션 제품의 핵심 구동 모듈 및 청정 가전제품, 생활 가전제품의 핵심부품을 자체 설계, 제조, 판매하고 있다. 특정 기능을 강화하거나 용량을 차별화하는 프리미엄 제품과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세컨드 가전의 수요가 크게 발생했다. 디지털 도어록 업체들은 긴급 재난 상황 발생시 실내에서 문을 열 수 있는 패닉 방식과 아연 합금 등의 소재를 적용하기 시작하여 안정성을 강화했다.
로봇주 강세
11. 세종텔레콤
[11.52%, 19,185K]
[연관섹터: 제4이동통신, 마이데이터]
기간통신사업자로 유무선전화 등 종합통신서비스 및 전기공사업을 하고 있다. 기간통신사업자로 국내외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종속회사 (주)조일이씨에스를 합병하여 전기공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신규사업으로 블록체인 메인넷 블루브릭(Blue Brick)을 공개 후 블루브릭 기반 서비스플랫폼을 개발 완료했다
제4이동통신 주목 및 네이버클라우드와 '클로바 케어콜(노인돌봄 서비스)' MOU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6383
12. 지니너스
[16.30%, 17,648K]
[연관섹터: 유전자 치료제/분석]
유전체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NGS(Next Generation-Sequencing)기술 트렌드를 선고하고 정밀의료 시장을 선도하는 생물정보분석 전문기업이다. NGS 암 진단 서비스인 CancerSCAN 및 액체생검 NGS 검사인 LiquidSCAN를 선도적으로 상용화했다. 초정밀 싱글셀 분석 기술을 통해 싱글셀 분석 플랫폼인 Celinus를 운영하고 있으며, 바이오마커 발굴 및 면역항암백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신약개발 기술로 떠오르는 유전체 분석 '싱글셀' 기술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3/09/07/2023090700132.html
13. 에스와이
[6.33%, 17,312K]
[연관섹터: 모듈러주택,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제조 및 판매 목적으로 쌍용실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에스와이패널, 에스와이로 사명을 변경해왔다. 종속회사인 에스와이빌드는 칼라강판, 구조용단열패널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스와이스틸텍은 데크플레이트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우크라 재건, 네옴시티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추정
14. 누보
[8.40%, 17,167K]
[연관섹터: 비료, 농업]
비료, 유기농업자재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력사업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현지 비료 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15. YTN
[-4.00%, 16,974K]
[연관섹터: 미디어(방송/신문),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을 하고 있다. 방송채널사용사업(YTN, 사이언스TV, YTN2), 임대사업(남산서울타워, 상암동 사옥) 및 기타사업을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국내 언론사 중 1위이고, 네이버 채널 구독자는 국내 언론사 중 3위에 올라있다.
YTN 지분 공동 매각 사전 공고 안내문을 내고 지분 매각 작업이 본격화 되면서 거래량 폭발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908_0002443524&cID=15001&pID=15000
16. 한창
[4.38%, 15,537K]
[연관섹터: 재난/안전(지진 등)]
제조부문 종속회사인 한주케미칼은 할론가스 생산설비를 준공해 할론 1301 가스소화설비 프로그램 인증을 획득했으며, 또 다른 종속회사 한연개발을 설립해 주상복합 자체 개발사업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는 부동산 개발업뿐만 아니라 종속회사 한창이피엠을 통하여 PM, 투자, 운용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7일 대표이사 변경으로 명확한 지배주주가 생기면서 주가 상승
17. 하이딥
[17.26%, 14,242K]
[연관섹터: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 PC 등]
UI/UX를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반도체 IC, 알고리즘, 센서, Stylus를 포함한 전체 필요 솔루션을 개발,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노트북의 글로벌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차세대 Touch Solution기술과 Stylus Solution 기술을 개발중에 있다.
외인들의 순매수 증가
18. 삼부토건
[-2.40%, 14,113K]
[연관섹터: 건설 중소형, 남북경협]
풍부한 토목시공 경험을 토대로 항만, 댐, 도로, 지하철, 발전소 등에서 기술적 노하우와 시공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건설업부문(삼부토건, 삼부르네상스, 삼부르네상스더힐), 해외건설업부문(삼부토건, 삼부파키스탄), 스틸사업부문(삼부토건), 기타사업부문(삼부토건)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크라 재건주로 평가받고 주가상승했으나 외인들의 순매도로 인해 하락
https://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6846
19. 젠큐릭스
[14.01%, 11,663K]
[연관섹터: 유전자 치료제, 유전자 분석]
암환자를 위한 분자진단검사 개발에 매진하여 아시아 최초 유방암 예후 진단검사 '진스웰BCT'와 차세대 분석기술인 Digital PCR 기반의 동반진단 검사 '드롭플렉스'를 출시했다.
AI 암 진단 서비스 사업에 착수한다고 공시한 후 기대감 유지
20. 체시스
[11.98%, 11,345K]
[연관섹터: 자동차부품]
자동차의 부속품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다. 지배회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자동차 부품인 REAR-AXLE, CROSS-MEMBER, CRADLE, ARM, OIL-PAN 등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이다.
한동훈 테마주
21. 디아이씨
[18.60%, 11,269K]
[연관섹터: 쿠팡,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 중장비(지게차, 굴삭기)부품, MOTORCYCLE 부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설립 초기 농기계부품을 주로 생산하였으나 연구개발과 다년간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품목을 자동차부품, 중장비부품, MOTORCYCLE부품 분야로 점차 확대하며 국내 최고의 Gear Market로 성장했다. 대표적 수출품인 Motorcycle용 고성능 Engine 및 Transmission은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다.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의 필수 부품인 고출력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개발을 마쳤다고 발표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05371
22. 대동기어
[20.14%, 11,227K]
[연관섹터: 농업]
농업기계, 선박기, 원동기, 자동차, 공작기계기어 및 부품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농기계 및 자동차 등의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및 트랜스 밋션을 전문적으로 생산한다.
첨단농업 기술이 주목을 받으면서 농기계 수주 확대 기대감이 주가를 견인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0907001431037
23. 인벤티지랩
[6.31%, 11,224K]
[연관섹터: 비만치료제, 치매]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을 의약품 연구개발에 적용하여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개발했다. 양산 제조에 응용한 IVL-DrugFluidic 플랫폼을 보유한 DDS(Drug Delivery System,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 기업이다. IVL-DrugFluidic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 중인 개량 신약 및 신약파이프라인, 동물의약품 등을 개발 중이다.
탈모치료제 기존의 경구제형에서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개발했고 현재 임상 3상 준비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418
24. 티피씨글로벌
[12.45%, 10,718K]
[연관섹터: 자동차부품,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인발튜브, 연료/냉각수 튜브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판매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자동차부품, 감속기, 합성수지배관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정밀강관, 방진부품, 연료주입계통, 냉장계통,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용 권상기(감속기), 동기모터, 산업용 감속기, 로봇감속기 등을 제조하여 판매한다.
자동차 경기가 살아나면서 수주확대 기대감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961
25. 삼성전자
[-0.14%, 10,688K]
[연관섹터: 마이크로 LED, NFT]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0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이다.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다. 부품 사업에는 DRA,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부문과 중소형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다.
첨단 패키지 증설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주 확대의 기대
https://www.sedaily.com/NewsView/29ULQMW2M5
26. 머큐리
[10.47%, 10,502K]
[연관섹터: 통신장비]
정보통신장비(AP, 광케이블 등)를 개발, 생산, 판매하며 국내 3대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가정 내 단말장비의 제조,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통신용 광케이블을 유럽, 아프리카 등 해외시장에도 지속 판매 중이며, 기존 유선전화 교환기를 IP화한 TDXAGW 및 군위성통신장비 사업을 수행하고 잇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게 될 핵심인프라인 무선 5G와 10기가급 인터넷의 구축 확대에 따라 통신장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부터 출시되는 와이파이 공유기 및 와이파이 모듈에 매터기능 탑재 예정
27. 포스코DX
[3.23%, 10,469K]
[연관섹터: SI(시스템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한다. IT와 OT융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철강분야를 주력으로 건설,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ICT솔루션 기반으로 스마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코스피 이전으로 인한 기대감 지속
28. 셀루메드
[5.90%, 10,421K]
[연관섹터: 2차전지, mRNA(메신저 리보핵산)]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 코스메슈티컬로 분류된다. 의료기기사업은 탈회골(DBM), 합성 고분자 무릎연골(BMG) 등을 연구, 개발하는 조직공학과 인공무릎관절, 동종이식재 취급 분야로 나뉜다. 바이오로직스 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골형성 단백질 rhBMP2와 히알루론산 기반의 활액대체재 Viscoseal Syringe가 있다. 단풍나무 수액으로 만든 기능성 화장품을 중국 내 2000여개의 화장품 전문 유통채널에 납품했다.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사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작했다.
현대차그룹 '교체형 배터리' 사업 추진 소식
29. KR모터스
[2.16%, 10,194K]
[연관섹터: 운수장비]
이륜차 제조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지속적인 독자기술 개발로 700cc급 고배기량 엔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50~700cc급까지 Full Line Up을 갖추고 있다. 22년부터는 배터리 교환형 이륜차의 양산을 추진하고 있다.
M&A 시장 매물로 나와 관심 지속
30. 한일사료
[2.18%, 10,090K]
[연관섹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사료]
배합사료 제조, 수입육 유통 판매 전문 기업으로 동물용 배합사료, 수입육 등의 사업 영역에서 양계사료, 축우사료, 수입육(우육, 돈육) 등을 생산 및 판매한다. 배합사료 공장은 국내 1개(경기도 용인시 소재) 가동 중이고, 수입육은 미국, 유럽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사료제조 및 매매업, 양곡매매업, 수출입업, 목축 및 종축업, 부화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현지 비료 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31. 나우IB
[1.51%, 10,066K]
[연관섹터: 창업투자회사]
솔브레인(반도체) 계열의 신기술사업금융회사로서 투자조합과 사모펀드를 통해 신기술사업자, 창업자,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및 회수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수익은 관리보수, 성과보수, 지분법이익과 기타의 영업수익으로 구성돼 있으며 일반적으로 관리보수는 조합 및 PEF 운영규모에 따라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에 해당된다.
한동훈 테마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