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롯데손해보험
[29.92%, 78,086K]
[섹터: 손해보험]
대한화재해상보험으로 설립된 손해보험사로 롯데그룹에 편입되었으나 2019년 최대주주가 빅튜라(유)로 변경됨에 따라 기업집단 롯데에서 제외되었다. 업계 최초로 하이브리도 자동차 보험료 할인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친환경보험상품을 개발하고, 녹색사업장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글로벌 주요 환경 이슈에 대응하고 있다. 안정적 자본건전성의 기반을 구축하여 신용평가사가 실시한 보험금 지급 능력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
매각 절차 본격화 소식에 상한가 지속세
2. 모비스
[29.87%, 35,292K]
[섹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대형 과학 프로젝트인 빅사이언스 시설물 제어에 필요한 제어시스템 및 장비를 공금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한 P2P 광고 플랫폼 및 솔루션 제공을 하는 블록베이스 지분을 획득했다.
국내 첫 중입자치료를 받은 전립선 암환자의 치료 결과에 따른 상승세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13090
3. 에이스테크
[29.91%, 23,055K]
[섹터: 자율주행차, RFID(NFC 등)]
에이스테크놀로지에서 인적분할해 에이스안테나로 설립 후 에이스테크놀로지와 분할합병을 통해 현재 회사가 되었다. 사업분야는 모바일 네트워크 관련 장비사업으로, 기지국 안테나, 기지국용 RF장비, 모바일 디바이스용 안테나 그리고 RF 커넥터 등이 있다. 신규사업으로 레이더, 유도무기체계, 지휘통신체계, 위성통신, 데이터링크 등의 방산용안테나 부문에 개발업체로 참여하여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1917451
4. 케이엠더블유
[29.97%, 9,167K]
[섹터: 5G(5세대 이동통신), LED]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사업과 스포츠조명, 실외조명, 실내조명등을 생산, 판매하는 LED사업을 하고 있다. 현재 11개의 종속회사를 보유 중이며 RF사업은 5G 투자에 따른 수주 선점을 목표로 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5. 유신
[29.97%, 4,068K]
[섹터: 우크라이나 재건, 네옴시티]
토목엔지니어링 업계 최초로 상장하였으며 도로/공항, 철도/구조, 도시계획, 감리, 기타설계 사업을 하고있는 건설업체이다. 교통시설분야와 함께 생활환경과 직결된 제반분야 등 엔지니어링 전분야에서 시공을 제외한 타당성 조사, 설계업무 및 감리 업무 등 건설사업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네팔, 케냐, 알제리 등에서 해외사업을 수행하며 신시장 진출을 추진중이다.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이 현지를 방문한다는 소식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주 관심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93657
6. 태영건설우
[29.98%, 1,434K]
[섹터: 폐기물처리,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건설사업부문, 레저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에서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건설사업부문에는 토목환경, 플랜트, 건축, 주택건설 제품 및 서비스를, 레저사업부문에는 자동차 경주장, 호텔, 콘도, 카트 경기장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다. 임대 사업부문에는 부동산 임대업을 하고 있으며 기타 사업부문에서는 자산관리 및 운영 등을 하고 있다.
운영자금 조달과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1900억원을 조달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49
천만주 종목
1. 우리기술
[15.93%, 82,804K]
[섹터: 풍력에너지,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시스템사업부문, SOC사업부문, 바이오사업부문, 해상풍력사업부문, 신규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으로 나누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기술 및 DSP등의 하드웨어 설계기술, 실시간 OS관련기술,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 응용 관련기술, 데이터베이스 처리기술 등과 관련된 고급 기반기술들을 확보 중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의 독자 원전 수출을 막기 위해 미국 경쟁사가 제기한 소송이 각하되면서 원전관련주가 강세
https://www.delighti.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858
2. 기가레인
[5.95%, 37,106K]
[섹터: 반도체 장비, LED장비]
RF통신부품 및 반도체 장비 제조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RF통신부품은 주요 모바일 기기 및 기지국장비에 사용되고 있으며, 동사의 반도체 장비는 LED 등 반도체 제작 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용 RF 동축 케이블 조립체 부품은 동사의 연결회사가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한 부품으로 현재까지도 국내 유일 공급사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실적호전 기대감이 주가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587
3. 센서뷰
[11.96%, 35,395K]
[섹터: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5G용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를 자체적으로 개발해 왔으며 무선통신 장비 및 부품 시장에서 RF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RF 연결 솔루션의 대표적인 제품군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고주파 케이블, 초정밀 커넥터 등이 있다. 고주파 환경에 최적화된 RF 연결 기술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케이블, 초소형전송선로, 5G 안테나, 방위산업용 안테나 등을 주요 제품으로 개발 및 양산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4. 엔텔스
[22.07%, 25,344K]
[섹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유/무선 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위한 운용지원시스템 개발 및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유무선 통신서비스 사업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가입, 개통, 고객관리, 상품 관리, 과금 및 정산 관리를 위한 통합운영지원 솔루션을 공급 및 운영한다. SKT, KT, LGU+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주요 고객사이며, 해외 채널 파트너로 삼성전자, KT, SK텔레콤, HP, Cisco, Nokia 등이 있다.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와 SK텔링크, KT SAT 협력 소식에 주가 상승세 지속
5. 옵티코어
[10.60%, 22,435K]
[섹터: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광통신 레이저 기술과 관련 시스템 기술을 바탕으로 통신망 내 엑세스망에 사용되는 광트랜시버와 광다중화장치 제품 및 관련된 반제품/부품을 개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국내에서 5G 이동통신망 구축이 본격화된 2019년에 시장에 진입한 이후 시장의 수요 증가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자회사를 통해 광트랜시버의 핵심인 레이저다이오드의 개발을 통한 기술의 내재화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6. 쏠리드
[19.18%, 22,112K]
[섹터: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이동통신 및 유성통신 관련 네트워크 장비의 제조 개발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모두 고객으로 확보하고 유무선 통신의 액세스 및 코어 영역에 속하는 장비인 중계기와 유선전송장비를 주로 공급한다. 주력 수출 품목인 DAS의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CAGR 12.1%의 견조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7. 머큐리
[0.11%, 21,991K]
[섹터: 통신장비]
정보통신장비(AP, 광케이블 등)를 개발, 생산, 판매하며 국내 3대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가정 내 단말장비의 제조 및 공급을 하고 있다. 통신용 광케이블을 유럽, 아프리카 등 해외시장에도 지속 판매 중이며 기존 유선전화 교환기를 IP화한 TDXAGW 및 군위성통신장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게 된 핵심 인프라인 무선 5G와 10기가급 인터넷의 구축 확대에 따라 통신장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8. 두산에너빌리티
[5.17%, 17,114K]
[섹터: 풍력에너지, 셰일가스(Shale Gas)]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되었다가 2022년 두산중공업에서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검설(두산중공업), 건설중장비 및 엔진(두산인프라코어), 토목과 건축공사(두산건설)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17,000톤 프레스 도입으로 발전과 산업 분야의 초대형 단조품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의 독자 원전 수출을 막기 위해 미국 경쟁사가 제기한 소송이 각하되면서 원전관련주가 강세
9. 미코바이오메드
[5.75%, 16,369K]
[섹터: 엠폭스(원숭이두창), 의료기기]
랩칩(Labchip) 기술을 바탕으로 현장진단(POCT)에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체외진단 전문기업니다. 2021년 브라질 파트너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감염성 질환, 열대병 질환, 식중독 등 진단 키트, 장비, 랩칩의 생산 및 판매중이다. 항원-항체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면역측정법인 ELISA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대규모 투자 유치 성공으로 주가 강세 지속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2465
10. 비츠로테크
[18.96%, 18,459K]
[섹터: 지주사, 철도]
전력의 생산, 공급에 필요한 전기제어장치를 개발, 제조 및 판매를 하는 전력기기사업과 특수사업, 전시사업으로 구분되며, 전력기기사업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다. 자회사 비츠로셀은 세계 1위의 글로벌 리튬일차전지 업체로서 성장할 것을 목표로 연구 개발과 영업망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 중에 있다.
중압자치료 관련주로 대형 방사광가속기에 사업을 주력하고 있음
http://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390
11. 본느
[2.65%, 15,099K]
[섹터: 화장품]
화장품 업종에 속해있으며, 화장품 관련 ODM사업과 자체 브랜드 사업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동사의 ODM사업은 제조생산 시설없이 연구개발력을 바탕으로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 및 디자인하여 처방(Formulation)을 제조회사에 제공한다. 다양한 기업의 제품을 기획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체 브랜드 메품개발에 원가구조를 구축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흑자전환 및 인디 브랜드 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가 성장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91909035414297
12. 대한광통신
[12.07%, 14,438%]
[섹터: 5G(5세대 이동통신)]
국내 유일 광섬유-광케이블 일관생산체제를 갖춘 업체로서 통신 및 전력 케이블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다. 신시장, 신기술 개발과 함께 국가 중요산업 육성의 일환인 소재부품장비사업과 특수광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통신사업은 해외 Major 광케이블과 국내외 광케이블의 주요 수요자인 통신사업자에게 직접 판매하고 있으며 일부 민수시장의 경우 대리점을 이용해 판매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차세대 장비 투자에 대한 기대감(통신장비주)
13. 에스와이
[3.09%, 13,624K]
[섹터: 모듈러주택,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제조 및 판매 목적으로 쌍용실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에스와이패널, 에스와이로 사명을 변경해왔다. 종속회사인 에스와이 빌드는 칼라강판, 구조용단열패널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스와이스틸텍은 데크플레이트 제조 및 판매사업을 하고 있다.
전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대한 관심이 지속
14. 3S
[8.86%, 12,476K]
[섹터: 반도체 재료/부품, 여름]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사업과 환경장치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종속회사인 상해삼에스공조기술유한공사는 환경시험장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사업은 반도체 주재료인 실리콘 웨이퍼를 운송할 때 사용되는 웨이퍼 이송박스를 생산하는 사업이며 모든 전자 기기의 핵심 부품이다.
엔디비아가 차세대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에 멀티 '칩렛' 설계 디자인을 사용할 것이라는 소식에 세계 최초 칩렛 캐리어를 개발한 3S 주가가 강세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3091914462831669
15. 엑세스바이오
[5.40%, 11,659K]
[섹터: 엠폭스(원숭이두창), 유전자 치료제/분석]
체외진단 기술을 토대로 면역 화학진단, 바이오 센서, 분자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진단 제품을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말라리아, 독감, 코로나 같은 감영성 질병을 진단하는 신속 진단 시약이며 매출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성된다. 주요 제품 중 하나인 말라리아 진단제품은 WHO, UNICEF 등 국제기구 및 각국 보건복지부 주관의 입찰 시장을 통하여 각 국가의 병원, 보건소 등에 배급 중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서 엠폭스를 포함시켜 이에 상응하는 예방 및 통제조치를 취할 예정
https://www.thekpm.com/news/articleView.html?idxno=173948
16. 흥구석유
[1.36%, 11,543K]
[섹터: 윤활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 등을 GS칼텍스 주식회사로부터 매입하여 대구경북지역에 판매하는 석유류 도소매업체이다. 석유류 유통구조 변화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새롭게 구상하고 자체 역량을 배양하여 경영성과를 높이려고 한다.
국가유가 가격의 급증
17. KTcs
[0.00%, 66,446K]
(주)케이티의 114번호 안내서비스 사업이 분사하여 설립되어 현재 KT 컨택센터, 오픈마켓 컨택센터, 114사업, 유통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매출은 KT고객센터 운영, 컨택센터사업, 114번호안내, 우선번호안내, KT상품위탁판매, 그 외 교육사업, 컨설팅사업 비통신 상품판매 등의 사업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동사의 연결회사로는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가 있다.
전일 상승 후 보합상태
18. HB테크놀러지
[-2.93%, 25,083K]
[섹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2차전지]
국내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LCD 백라이트유닛인 도광판 확산판을 제조/판매하는 소재사업을 추가했다. 주요 거래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대만의 INNOLUX 등이 있다. 고객사와의 협력개발을 통해 AMOLED 검사장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주요 매출품목으로 성장했다.
기관 및 외국인 매도세
19. 우듬지팜
[-17.77%, 21,656K]
[섹터: 음식료업종, 농업]
스마트팜을 바탕으로 재배, 생산, 유통까지 연결하는 융복합 사업이다. 대추방울 토마토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고 상품성이 우수하여 전체시장의 80%를 넘어섰다. 국내 최초로 스테비아 토마토의 양산을 성공하여 '토망고'브랜드를 론칭하였고, 점점 매출이 늘어 블루오션 시장을 개척했다고 평가받는다.
하나금융20호스팩과 스팩 소멸 방식으로 합병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
https://www.fnnews.com/news/202309191003540835
20. 모아데이타
[-8.22%, 14,057K]
[섹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기반의 ICT 시스템 이상탐지 및 예측용 장비 개발 및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AIOps 제품인 "페타온 포케스터"는 ICT 시스템의 장애 예측 및 선제 대응 수요 해결을 위한 제품으로 현재 초기 시장인 AIOps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2021년 종합물류기업과 택배 근로자 신체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공급 및 근로자 과로사 방지르 ㄹ위한 건강이상 예측 및 탐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전날 상승분 반납
21. 에스코넥
[-8.99%, 12,765K]
[섹터: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메타버스]
핸드폰 부품 제조업을 하고 있으며 자회사를 통해 1차전지 제조업, 이산화탄소저감장치 제조업 등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핸드폰 금속부품 사업부문은 스마트폰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경기광주 및 안성, 안산 사업장)와 해외(중국, 베트남 등)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1차전지 사업부문은 Li/SOC12 전지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화성전곡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전날 상승분 반납
22. 삼성전자
[-0.57%, 11,820K]
[섹터: 3D낸드(NAND),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0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서된 글로벌 전자기업이다. 세트사업은 TV를 비롯한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폰, 에어컨,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다. 부품 사업에는 DRA,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부문과 중소형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다.
이슈 없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