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YTN
[30.00%, 2,501K]
[섹터: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미디어(방송/신문)]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방송채널사용사업(YTN, 사이언스TV, YTN2), 임대사업(남산서울타워, 상암동 사옥) 및 기타사업을 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국내 언론사 중 1위이고, 네이버 채널구독자는 국내 언론사 중 3위에 올라있다.
최종 낙찰자에 유진그룹 지주사인 유진기업이 선정 되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9040
2. 제이에스코퍼레이션
[30.00%, 1,120K]
[섹터: 패션/의류]
핸드백 제조 부문과 의류 제조 부문으로 사업이 나뉘어져 있으며, 16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중저가 브랜드인 GUESS, DKNY의 핸드백을 생산했으나 이후 중고가 브랜드이 KATE SPADE & COMPANY, MICHEL KORS, COACH 등의 신규 매출처를 확보했다.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50%정도 증가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98351#google_vignette
3. 위지트
[29.99%, 61,755K]
[섹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계측기기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 원일시스템을 흡수합병했다. 국내최초로 디스플레이 소모성 부품인 상부전극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고 이후 고유의 기술력과 정밀가공, 증착, 식각에 적용되는 장비의 소모성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과의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전방산업 기술 고도화에 대응에 왔으며 정부로부터 소재, 부품, 장비 전문기업으로 선정되었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관련주 주가 상승
https://www.yna.co.kr/view/AKR20231024055551002?input=1195m
4. 신신제약
[29.93%, 19,074K]
[섹터: 제약업체, 치매]
근육통, 관절통, 신경통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첩부제(파스류)를 비롯하여 바르는 물파스, 뿌리느 ㄴ에어파스 드으이 품목에 특화된 OTC 의약품 전문 제조, 판매하는 업체이다. 여름철 해충기피제, 습진, 피부염 등에 바르는 외용액제, 티눈 제거제, 각종 반창고 등 약 100여 종에 달하는 OTC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주요 매출처는 약국과 의약품 도매상으로 약국이 총 매출 비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 제약사인 '시노팜'과 협업한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9033
5. 희림
[29.93%, 21,444K]
[섹터: 리모델링/인테리어, 남북경협]
건설 관련 서비스업인 설계, 허가, 준공 관련 업무를 대행하는 업무와 타당성조사, 분석, 설계, 감리 등에 관한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해외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새로운 해외사업 수주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설계와 CM, 본사-현장 간 협력체계를 정비해 해외 정보력을 강화 중이다.
현대건설,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와 3자 업무협약(MOU)를 맺고 부동산, 인프라 개발 사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및 사우디발 훈풍 영향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9036
천만주 종목
1. 삼부토건
[12.70%, 56,733K]
[섹터: 건설 중소형, 남북경협]
국내건설업부문(삼부토건, 삼부르네상스, 삼부르네상스더힐), 해외건설업부문(삼부토건, 삼부파키스탄), 스틸사업부문(삼부토건), 기타사업부문(삼부토건)으로 운영하고 있다. 75년간의 풍부한 토목시공 경험을 토대로 항만, 댐, 도로, 지하철, 발전소 등에서 기술적 노하우와 시공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사업 부문에서는 도로공사, 지하철, 철도, 발전소 등의 생산 및 판매 제품이 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 종전 후 대규모 재건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에 관련 재건주 주가 상승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37618
2. 현대무벡스
[12.83%, 23,346K]
[섹터: SI(시스템통합),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물류자동화, 승강장안전문(PSD), IT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스토리지, 셔틀, 반송, 분류 시스템 무인대차 등의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 구현에 필요한 제품, 시공, 컨설팅, 유지보수 등의 물류자동화 토탈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차산업 수혜주인 로봇 관련주가 다시 부상하면서 주가 상승세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121
3. KNN
[19.32%, 19,437K]
[섹터: 미디어(방송/신문)]
방송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고, 개국 이래 지상파TV, 라디오 방송, 광고 사업을 하고 있다. 2005년 부산/경남지역 민영방송사업자로 선정되면서, 부산방송에서 KNN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부산/경남의 663만 시청자를 단일방송권으로 가지고 있는 유일한 민영방송사업자로 방송광고수입이 주 매출원이다. SBS와의 협약을 통해 방송의 약 70%를 SBS 프로그램으로 방영한다.
유진그룹의 YTN 인수 소식으로 방송 미디어 섹터의 주가 상승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10240177&t=NN
4. 코스나인
[13.00%, 17,718K]
[섹터: 화장품]
통신기기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 목적사업으로 설립되었으나 현재는 화장품 제조, 생산을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사업부문은 중국 상해지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화장품 유통판매와 국내 본사에서 진행중인 화장품 제조업으로 나뉘어진다. 화장품 전 제품군을 OEM, ODM, OCM을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국내 ODM/OEM 아웃소싱이 증가하는 상황에 따라 생산대응능력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중국 광군제가 다가오면서 화장품주 주가 상승세
5. 코오롱글로벌
[11.75%, 13,380K]
[섹터: 건설 중소형, 풍력에너지]
건설사업부문은 '코오롱하늘채', '린든그로브'와 같은 주택 브랜드를 앞세운 주택 및 건축 분야와, 도로/교량 등을 시공하는 토목분야 및 SOC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해외 상하수도 시설을 시공하는 환경 사업, 풍력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으로 이루어진 종합 건설업을 영위하고 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 MOU 체결 소식에 주가 상승세 지속
6. 다날
[21.65%, 12,220K]
[섹터: 삼성페이, 쿠팡(coupang)]
소프트웨어 개발, 수출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휴대폰 결제 서비스를 주 사업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결제 및 인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온/오프라인 휴대폰 결제를 비롯하여, 신용카드, 바코드 결제 등의 커머스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결종속회사들의 사업부문은 디지털콘텐츠부문, 프랜차이즈부문, 렌탈서비스부문으로 구별된다.
외부결제 플랫폼 기업 플레이어스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플랫폼 내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밝혀 주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164587
7. 골든센츄리
[-10.77%, 15,298K]
[섹터: 농업, 지주사]
중국 내 실질 영업회사는 강소금세기(주제품: 트랙터용 휠, 트랙터 완성차)와 금세기차륜(주제품: 트랙터용 휠)이며, 트랙터 휠의 생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휠 제품은 중국의 주요 트랙터 생산업체인 제일트랙터, 상주동풍, 강소워드, 서주카이얼 등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강위'라는 브랜드를 통해 시장 내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트랙터 완성차 디마치(Dimachi)를 생산 및 판매 중이다.
유상증자 과정에서 시세조종 혐의로 검찰 고발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매도세로 주가 하락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16695
8. 이글벳
[-12.85%, 11,843K]
[섹터: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동물약품제조, 판매 등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과 통신판매업 및 전자상거래 등의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동물약품시장은 시중 경기가 좋으면 축산물의 소비가 늘게 되고 동물약품 또한 사용량의 증가로 사업성이 양호해지는 특징이 있다.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 추가 발생 우려에 동물 백신주 부각되어 전일 주가 상승분 반납으로 추정
9. 중앙백신
[-8.36%, 10,437K]
[섹터: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동물약품 전문 제조업체로 동물 백신의 생산 판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사료첨가제, 구충제 등의 상품 판매도 하고 있다. 축종에 따라 수이샷 양돈백신, 포울샷 가금백신, 캐니샷 애견백신, 보비샷 축우백신 등으로 제조 판매하고 있다. 국제수역마수국 산하 Affsa Nancy 인증을 받아 광견병 중화항체가 농장을 대상으로 병성진단 용역 및 생물학적제제에 대한 연구용역을 제공하고 있다.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 추가 발생 우려에 동물 백신주 부각되어 전일 주가 상승분 반납으로 추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