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씨씨에스
[30.00%, 89.812K, 2,434억]
[섹터: 초전도체]
방송법에 의거하여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종합유선방송사업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승인을 득한 방송사업자이다. 충청북도 충주시를 포함 동 지역내 가입자에게 자가 전송망을 통해 케이블 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종합유선방송사업 부문 이외에도 각종 지역행사 유치, 국내 및 해외 테마여행사업, 프로그램 컨텐츠 유통 등 신규 사업을 진행하여 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초전도학회에서 LK-99 초전도체 아니라는 발표에 주가 하락분 반등 및 씨씨에스의 적극적인 반박이 주가에 영향 추정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9061
2. 코이즈
[30.00%, 9,559K]
[섹터: 2차전지]
LCD의 부품인 백라이트유닛(BLU)의 핵심소재인 광학필름의 코팅과 도광판 및 보호필름 제조를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원료를 구입하여 직접 필름 원단의 성질별로 코팅액을 조액함으로써 생산 원가 및 품질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독자적인 교반배합기술과 UV 경화장치 개발 기술을 토대로 타 경쟁업체에 비해 우수한 광특성 및 가격경쟁력 확보로 시장점유율 확대를 지속하고 있다.
이슈 없음
3. 카이노스메드
[30.00%, 773K]
[섹터: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고 필요로 하는 신기술연구 및 의약품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인간의 불치병, 난치병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혁신적인 신약을 연구하고 이를 적정 개발단계의 신약후보물질로 License-Out 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비즈니스 모델로 가지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항바이러스제, 항암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에이즈치료제 'KM-023'이 중국 내 파트너사 장수아이디를 통해 복합정, 단일정으로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이번 중국 의료보험 등재에 이 두개지 약물제형 모두 승인을 받음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554
4. 유아이디
[29.99%, 4,614K]
[섹터: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스마트폰]
평판 디스플레이 관련제품 제조 및 판매업과 전자부품 관련제품을 제조 판매가 주요사업 목적이다. 주력 사업은 인라인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용 ITO 등 LCD에 사용되는 ITO코팅 제품이며 PDP Filter용 강화유리도 생산중이다. 연구개발활동으로 17명이 연구개발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스포터링용셀형 패널 고정장치 등을 개발했다.
한동훈 테마주로 분류되어 주가 상승
한동훈 장관의 '태어난 곳은 춘천이고 어릴 적 자란 곳은 청주'라고 말했는데, 유아이디의 본사는 청주에 있어 테마주로 분류되었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8917
5. 베셀
[29.99%, 591K]
[섹터: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렛 PC),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생산 기업으로 LCD, OLED, 터치패널용 In-line System 및 각종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장비 전방 사업은 디스플레이 산업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전방 산업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사업 초기의 LCD 분야에 한정되어 있던 사업군은 OLED 및 TSP 분야로 사업분야를 확대하여 성장을 지속했다.
유상증자 청약 성공소식으로 주가 상승세 지속
6. 아이티센
[29.97%, 22,430K, 1,642억]
[섹터: STO(증권형 토큰 발행), SI(시스템통합)]
동사 및 종속회사는 크게 IT 서비스 부문과 비 IT 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IT 서비스 부문의 주요사업은 IT 컨설팅, IT 시스템 설계 및 개발수행 SI, 클라우드 전환/구축 컨설팅,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운영,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기타 고객사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이 있다. 비 IT 부문은 귀금속 도소매업, 도금업, 귀금속 및 장식용품 제조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부산디지털 자산거래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215_0002560017&cID=10403&pID=15000
7. 와이더플래닛
[29.93%, 270K]
[섹터: 광고, 쿠팡(Coupang)]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정보처리 및 제공기술, 시스템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로 빅데이터분석 및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동화된 프로그래매틱 마케팅 서비스플랫폼을 기업에게 제공하고 마케팅과 광고 성과에 기준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자연어 처리 및 사용자 문맥 인식, 사용자 프로파일링, 성과 예측, 최적화술, 매체 효율 제어, DPA와 같은 핵심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19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세 지속
천만주 종목
1. 와이즈버즈
[14.18%, 58,791K]
[섹터: 광고]
RTB 매체(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터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 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동사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사 중 하나이다.
김한길 정치테마주로 주가 상승
와이즈버즈 김종원 대표이사가 긴한길 위원장과 건국대학교 동문이다.
2. 에스에이티
[26.97%, 28,846K, 944억]
교통 관련 장비 제조/설치 및 유지보수, 모바일 관련 부품 납품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축중기, 계중기, 모바일 관련 다이컷팅 제품 및 인쇄물 등이 있다. 종속회사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인 제주산업, 서귀포산업, 에코산업개발과 모바일관련 부자재 및 인쇄물 업체인 나노테크가 있다. 축중기분야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중인 사업 외에도 CCTV, VMS 등의 도로교통과 관련한 신규사업진출 모색 중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테마주로 분류되어 주가 상승
에스에이티는 '제주산업'과 '서귀포산업'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이는 제주 태생과 제주도 도지사의 경력이 있는 원희룡 장관과의 연관성으로 이어졌다.
3. 스맥
[19.76%, 23,590K, 1,031억]
[섹터: 공작기계,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정보통신장비의 개발, 제조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판매 등을 주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합병을 통해 기계사업(공작기계 제조 및 판매, 산업용로봇의 제조 및 판매업)을 추가로 영위하고 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공작기계, 자동화 장비, 융복합 장비, 로봇 등을 제조하는 기계사업부문과 이동통신장비, IP네트워크 장비 등을 제작하는 ICT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연구원의 폐배터리 해체 분해 장비 공급사 선정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2471
4. 컴퍼니케이
[9.59%, 14,713K]
[섹터: 창투사, NFT(대체불가토큰)]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 벤처투자조합 등 조합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 투자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사업구조는 크게 펀드조성(자금모집), 투자 및 관리, 투자회수로 이어지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가로 투자재산의 분배 및 해산으로 구성되었다. 직접적인 경쟁업체는 개인, 일반법인, 금융기관(은행, 증권, 연기금 등) 등이 있다.
국내 인공지능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솔라'를 공개해 주가 상승세 지속
컴퍼니케이는 업스테이지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주도하고 100억원 가량을 투자했다.
5. 하이드로리튬
[15.45%, 14,425K, 1,909억]
[섹터: 리튬, 4대강 복원]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22년 리튬플러스에 인수되어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 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다. 신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여 특허 20건, 실용신안 1건, 디자인 18건을 소유하고 있다.
정부가 수급 불안에 대처하기 위한 공급망 안정 품목을 발표했는데 수산화리튬이 주목되어 관련 주가 상승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472
6. SIMPAC
[20.92%, 12,999K, 562억]
[섹터: 공작기계]
동사는 프레스사업부, 합금철사업부, Roll사업부를 영위하고 있다. SIMPAC인더스트리는 사업부문별 경쟁력 강화와 사업집중화를 위해 주물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신설회사 SIMPAC주물을 설립하고 설립회사의 주식 100%를 소유하고 있다. 고순도 페로실리콘(Fesi)을 주력으로 생산 할 수 있는 설비를 자산양수도를 통해 인수하여 해당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송원산업 인수 기대감에 주가 상승
https://dealsite.co.kr/articles/114538
7. 에이루트
[13.47%, 12,548K]
[섹터: RFID(NFC 등), 전력설비]
미니프린터를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프린터 사업부문, 유통 사업부문, 중전기기 사업부문, 기타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사업부문에서는 POS 츠린터, 모바일 프린터, 라벨 프린터, 주변기기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중전기기 사업부문에서는 종속회사인 (주)지오닉스를 통해 전원공급장치 및 전력변화장치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에이루트의 관계사 우진홀딩스가 우진기전 매각을 위해 사모펀드 등과 본 계약 체결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우진홀딩스에 유입되는 재원이 2700억원 정도로 일부가 에이루트 배당 재원 등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8. 에스유홀딩스
[8.57%, 11,434K]
[섹터: 치매]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제조 및 유통(ICT)사업 및 전자담배, 화장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수출입을 포함한 유통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및 바이오코스메틱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업을 하고 있다. 종속회사로 에이모션, Neurosona America, Inc. 뉴로소나, 이스트로젠, 리온시스템 등을 보유하고 있다.
스위트몬스터와 협약을 체결해 한류 수출용 김 개발에 착수했다는 소식
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19355
9. 에코프로머티
[20.28%, 10,527K, 1조6,756억]
[섹터: 2차전지(소재/부품), 2차전지]
2017년 주식회사 에코프로지이엠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어 2022년 에코프로머티리얼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동사가 생산하는 전구체는 EV, 전동공구, ESS 산업 등에서 다양한 제품군의 이차전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사의 전구체 생산시설은 포항시 영일만 산단 내 위치하고 있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완화 전망에 2차전지주 전반이 강세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2차전지주의 경우 대주주 양도세에 따른 세금 회피를 위한 개인투자자의 연말 대량 매도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연말 기준 종목당 주식을 10억에서 50억으로 올리는 방향이 되면서 매수세 몰림
https://www.mk.co.kr/news/stock/10900962
10. SFA반도체
[-7.75%, 21,566K, 1,384억]
[섹터: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와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사의 사업분야는 반도체 산업의 후공정 분야인 반도체 조립 및 TEST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Micron, SK하이닉스 등 세계 유수의 반도체 업체들에게 최첨단 반도체 패키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슈 없음, 기관 및 외국인 매도세로 하락으로 추정
11. 국동
[-11.88%, 15,881K]
[섹터: 패션/의류]
니트의류의 수출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에 의해 NIKE, FANATICS, H&M 등과의 계약으로 의류를 인도네시아에 소재하고 있는 해외생산법인 등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종속회사인 KUKDONG APPAREL은 북미시장에서의 의류 등의 판매를 목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되었고 멕시코 현지법인인 MEX MODE S.A.DE C.V의 지분의 100%를 소유하고 있다.
이슈 없음
12. 네오셈
[-9.96%, 10,697K, 705억]
[섹터: 반도체 장비]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 주사업은 SSD 검사장비와 MBT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글로벌 SSD 검사장비 M/S 1위 기업으로 글로벌 SSD 상위 제조사에 모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 주력제품은 4세대 SSD 검사장비이며, 5세대 SSD 검사장비의 기반기술을 이미 확보한 기술 선도 기업이다.
컴퓨터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고대역폭메모리(HBM)과 함께 시장 판도를 뒤집을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주가 상승세 지속되었으나 상승분 반납으로 추정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리튬포어스
[17.11%, 9,585K, 724억]
[섹터: 리튬, 캐릭터상품]
반도체 검사장비 등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사업 다각화 과정에서 2019년 2월 콘텐츠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는 (주)위드모바일을 합병하고 사명을 더블유아이로 변경했다. 2023년 5월 리튬포어스로 상호변경을 하였으며, 2차 전지 소재 제조 및 판매, 바이오, 영화와 드라마 콘텐츠 투자 등 다양한 분야로의 비즈니스 확장을 추진 중이다.
정부가 수급 불안에 대처하기 위한 공급망 안정 품목을 발표했는데 수산화리튬이 주목되어 관련 주가 상승
2. 아시아나IDT
[15.12%, 7,160K, 1,490억]
[섹터: SI(시스템통합)]
모회사인 아시아나항공의 정보통신사업부를 영업양수, 이후 아시아나아이디티로 사명을 변경 후 현재까지 IT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다. 자체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고객사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인프라 서비스를 위하여 인프라 컨설팅, 인프라 설계 및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센터 통합 운영 및 전산시설 환경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이 있다.
EU 경쟁당국의 심사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내년 2월 중으로 마무리할 예정
경쟁당국의 승인이 나면 아시아나항공 화물 사업 매각 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