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대동기어
[30.00%, 1,590K]
[섹터: 농업,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농업기계, 선박기, 원동기, 자동차, 공작기계기어 및 부품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고정 밀도의 고부가가치 상품 또한 개발하면서 신규 시장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대동과 포스코가 공동 개발 방식으로 리모콘 원격조정 로봇을 만들어 포스코 제철소에 투입할 계획에 주가 상승
2. 씨싸이트
[30.00%, 1,211K]
[섹터: 패션/의류]
니트 의류 제품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을 영위하며 갭(GAP), 에이치엔엠(H&M), 아메리칸이글(AEO)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대 고객사인 GAP 월별 벤더(Vendor) 평가에서 국제 최고 2위를 기록하는 등 제품납기 준수 및 품질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현재 인도네시아와 과테말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43개국에 수출을 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로 주가 상승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3/12/20231221505893.html
3. 대동
[29.98%, 13,598K, 2,309억]
[섹터: 농업, 태풍 및 장마]
한국, 미국, 중국, 유럽 등에 농기계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본사를 포함하여 9개 종속회사로 구성된 농기계 전문기업이다. 현재 사업부문은 농기계부문, 주물제품부문, 기타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기계가 전체 매출 비중의 90%를 넘게 차지한다. 농기계부문은 농업용 기계인 트랙터, 콤바인, 이양기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물제품부문은 실린더헤드 및 기타 주물제품을 기타부문은 유압기기류 등을 공급하고 있다.
대동과 포스코가 공동 개발 방식으로 리모콘 원격조정 로봇을 만들어 포스코 제철소에 투입할 계획에 주가 상승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619
4. 삼성출판사
[29.97%, 1,537K]
[섹터: 엔젤산업, 출산장려정책]
유아동 출판물을 주축으로 하여 영어교재(유치원, 초등학원) 및 성인교양물, 휴게소사업, 임대사업을 통해 사업을 하고 있다. 온오프라인서점과 소셜쇼핑 등의 도서코너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군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유/아동 단행본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주요 종속회사로는 문구, 패션디자인 제품 및 사무용품을 제조하여 국내, 국외 직영, 체인 유통망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아트박스가 있다.
'아기상어' 제작사 더핑크퐁컴퍼니가 상장 준비를 한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삼성출판사는 더핑크퐁컴퍼니의 2대주주이며, 김민석 더핑크퐁컴퍼니 대표는 김진용 삼성출판사 대표의 장남이다.
https://www.mk.co.kr/news/stock/10904047
5. 대유플러스
[29.94%, 30,066K]
[섹터: 탄소나노튜브(CNT), 콜드체인(저온 유통)]
연결종속회사의 주요 사업은 정보통신부문, 에너지사업부문, 소형가전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가전사업부문, 자동차부품부문이 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대유글로벌은 자동차 알루미늄휠을 생산하여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위아, 현대글로비스, 케이엠씨아이 등에 납품하고 있다. 각 부문별 매출 구성은 정보통신부문이 1.7%, 에너지사업부문이 2.8%, 가전사업부문이 5.5%이며, 자동차부품부문이 89.8%로 구성되어 있다.
위니아 매각 추진이 신속하게 결정되면서 주가 상승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83561
6. 대동금속
[29.92%, 2,195K]
[섹터: 농업, 건설기계]
농업기계용주물, 자동차용주물 및 기타 주물제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 7.5만톤의 주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주물 제품 생산업체로, 농기계용 주물 제품을 생산하여 모기업인 대동과 가족사인 대동기어에 납품하고 있다. 산업용 건설기계의 핵심부품인 MCV와 관련 유압부품을 볼보 등 건설장비 업체에 납품 중에 있다.
대동과 포스코가 공동 개발 방식으로 리모콘 원격조정 로봇을 만들어 포스코 제철소에 투입할 계획에 주가 상승
7. 플레이디
[29.90%, 7,956K]
[섹터: 광고]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퍼포먼스광고 등 PC 및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고객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마케팅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광고대행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다. 국내 포털 업체에 이어 국내 광고 시장에서 중요한 입지를 구축하여 국내 광고 시장 생태계의 변화를 주도 중이다.
틱톡샵의 한국 진출 준비 소식에 상한가
플레이디는 틱톡의 공식 리셀러 계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다.
8. 위니아
[29.87%, 39,296K]
[섹터: 제습기, 공기청정기]
종합가전제품 제조를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어 김치냉장고 외 다양한 주방/생활가전을 제조하고 있다. 김치냉장고는 딤채, 전기밥솥은 딤채쿡, 프리미엄 냉장고는 프라우드, 기타 주방/생활가전 상품은 위니아 브랜드명으로 관리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 약 65건 수상을 통해 동사의 우수한 디자인 경쟁력이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경영정상화를 위해 매각 추진이 신속하게 결정되면서 주가 상승
9. 모비데이즈
[29.86%, 20,448K]
[섹터: 광고]
모바일 마케팅 플랫폼 '모비커넥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마케팅 서비스(퍼포먼스마케팅, 미디어랩)와 마케팅 유관 사업(마케터 생태계 연결)을 영위 중이다. 마케팅 관련 생태계 전반에 포진되어 인지도를 높이고 퍼포먼스 마케팅 서비스 혹은 미디어렙 서비스를 의뢰하게 되는 플랫폼형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고 있다.
틱톡샵의 한국 진출 준비 소식에 상한가
모비데이즈는 틱톡의 공식 파트너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
10. 코다코
[29.70%, 7,727K]
[섹터: 리비안(RIVIAN), 자동차부품]
사업 초기에는 북미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 전문기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국내외 다수의 고객사로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대부분 자동차의 내부 기계장치에 대한 부품으로 엔진, 변속기, 공조장치, 조향장치 등 크게 4가지 관련 분야로 나눌 수 있다. 구갠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 한국GM 등으로 제품을 공급 중이며, 해외완성차 업체인 GM, Ford, Crysler, Fiat, Tesla 등으로 공급하고 있다.
현대차, 기아차가 올해 실적이 전년도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면서 자동차 부품 업체 실적도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가 상승으로 추정
11. 와이즈버즈
[29.93%, 73,139K, 1,157억]
[섹터: 광고]
동사는 RTB 매체(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트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 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동사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사 중 하나이다.
틱톡샵의 한국 진출 준비 소식에 상한가
와이즈버즈는 틱톡의 공식 마케팅파트너사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
천만주 종목
1. 대유에이텍
[20.66%, 31,369K]
[섹터: 리비안(RICIAN), 자동차부품]
자동차 부품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로 자동차부품시장에 진출한 이래 광주시트사업부에서는 스포티지(QL/NQ5), 쏘울(PS/SK3), 셀토스(SP2), 카렌스(RP), 봉고트럭 전차종을 기아 광주사업장에 독점공급하고 있다. 카렌스(RP) 후속 차종인 셀토스(SP2) 또한 성공적으로 양산 중에 있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 소식에 주가 상승세 지속
2. LS전선아시아
[22.87%, 20,939K, 4,535억]
[섹터: 전선, 네옴시티]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외국기업의 사업 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외국기업지배지주회사이다. 베트남 전력시장의 성장과 도시화율이 높아질수록 전력케이블의 지중화사업과 고부가 제푸므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ㅈ아속에 동사는 베트남 풍력시장을 선점하여 향후 고부가 시장의 확대로 인한 지속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차전지 음극집전체로 쓰이는 동박용 신소재인 '큐플레이크'를 개발했다고 밝힘
큐플레이크: 동박 제조 과정에서 원재료 가공 공정을 줄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구리선 스크랩(금속 부스러기)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4~5단계 공정을 거쳐야한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83733
3. 포스코DX
[16.67%, 16,198K, 9,463억]
[섹터: 황사/미세먼지, 스마트홈(홈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IT와 OT융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철강분야를 주력으로 건설,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ICT솔루션 기반으로 Smart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솔루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내년 1월 2일부터 코스피로 이전 상장되기 전 주가 상승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122113391236475
4. FSN
[15.93%, 14,276K]
[섹터: 광고,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MARKETING, TECH, COMMERCE, GLOBAL에 이르는 핵심 사업영역을 중심으로 미래 산업의 밸류체인을 완성해 나가는 국내 최대 디지털 마케팅 그룹이다. 한국을 중심으로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대만, 중국 등 동남아시아 자회사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애드테크 업계 최초 우수한 마케팅과 TECH 역량을 기반으로 플랫폼, DEX, NFT, 종합 디지털 자산관리 등 다양한 미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위믹스(WEMIX)를 상장 폐지한지 1년 만에 재상장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 상승
틱톡샵 한국 진출 소식에 주가 상승(FSN 아시아의 자회사인 비헤이브글로벌이 틱톡의 1급 공식 마케팅 대행사 지위를 확보했던 이력이 있다.)
FSN의 자회사 핑거랩스는 위메이드와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12130625176900cd1e7f0bdf_23
5. 대동스틸
[26.63%, 11,631K, 503억]
[섹터: 남-북-러 가스관사업, 철강 중소형]
토목, 건설, 자동차, 조립금속, 조선 등에 사용되는 열연제품 및 후판을 절단가공하여 생산, 판매하고 있다. 포항공장은 POSCO와 인접한 공업단지 내에 생산공장이 위치하여 Steel Service를 함으로써 물류비용의 최소화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POCO의 8개 열연제품 지정판매점 중 가장 수요가 많은 지역인 서울을 비롯한 중부권, 영남권, 충청권을 주요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다.
대동과 포스코 로봇공급계약 체결소식에 주가 상승
대동스틸은 대동과 전혀 관련없는 회사이나 이름이 같아 투자자의 착오로 인해 주가 상승
6. HMM
[-11.63%, 26,356K, 5,443억]
[섹터: 해운]
100여 척의 다양한 선박과 물류시설, 전 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항로망, 해운업계를 선도하는 IT시스템, 숙련된 해운전문인력을 바탕으로 최고의 수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각종 수출입 제품은 물론, 원유, 석탄, 철광석, 특수화물 등 국가전략물자를 수송하여 국가경제의 대동맥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각화된 사업 영역을 구축하며, 특정 분야의 시황 변동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확보하고 있다.
하림지주에 인수 및 예민 반군 후티에 의해 홍해 무역로가 위협을 받고 글로벌 화물 운임이 상승하면서 전일 연일 상승했으나 반납
7. 한익스프레스
[-10.34%, 17,440K, 1,521억]
[섹터: 종합 물류, 콜드체인(저온 유통)]
삼희통운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전국적 물류거점을 구축하고 육상화물운송 및 국제운송주선, 3PL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특히 특수화물운송에서 국내 최고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종합물류기업이다. 종속회사는 4개사로, 물류업(HAN EXPRESS LOGISTICS(NONGBO)/HAN EXPRESS VIETNAM/피티엘)과 도급업(피티에스)를 영위하고 있다.
한동훈 관련주로 주가 상승세 지속 후 반납
8. 하림지주
[-10.57%, 17,249K, 1,491억]
[섹터: 지주사]
지주회사로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자회사들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및 비전 제시, M&A를 통한 신사업 발굴, 투자 타당성검토 등 사업의 최종 조정자 역할 및 윤리경영의 감독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주회사인 동사를 비롯하여 핵심 자회사인 팬오션, 제일사료, 하림, 선진, 팜스코, 엔에스쇼핑이 있다. 곡물(해운), 사료, 축산(가근/양돈), 도축가공, 식품제조, 유통판매 등 식품의 가치사슬을 통합 관리하고 있다.
HMM 인수건으로 주가 상승분 반납 및 기관매도세 등으로 주가 하락
9. 흥아해운
[-3.11%, 24,922K, 682억]
[섹터: 해운]
경영정상화 목적의 유상증자를 진행하여 2021년 6월부터 장금상선이 최대주주가 되었다. 아시아 지역에서의 액체석유화학제품의 해상운송을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부동산 임대업을 행하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회사가 직접 투자한 계열회사 중 정상적으로 사업을 영위 중인 계열회사는 11개사(국내 7개, 해외 4개)이다.
전쟁발 무역 해상 물류대란에 주가 연일 상승 중에 조정으로 추정
10. 한국전자인증
[-0.10%, 20,402K, 1,076억]
[섹터: 토스(toss), 핀테크(FinTech)]
전자인증서(기업&개인), 글로벌SSL인증, 생체인증, IOT인증 등 보안솔루션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2023년 2월 초간편 비대면 사업자 공동인증서 서비스 개시를 했다. 글로벌 전자인증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해 스위스 글로벌 인증기관인 Wisckey와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토스 상장 기대감에 관련주로 전일 주가 상승 후 보합세로 마감
11. 리더스 기술투자
[12.46%, 14,619K]
[섹터: 창투사]
신기술사업에 대한 투자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다. 회사의 경영목적 및 전략에 따라 적합한 '제미니투자 주식회사'에서 현재의 상호명으로 변경했다.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는 주식인수, 전환사채 인수, 투자조합 출자 및 관리, 특정 프로젝트 투자, 기투자한 벤처기업 또는 중소기업에 자금지원 등의 형태로 진행 중이다.
이슈 없음, 저점에서 매수세 들어오면서 반등한 것으로 추정
12. 팬오션
[-3.50%, 19,755K, 791억]
[섹터: LNG(액화천연가스), 해운]
해상화물운송을 사업목적으로 범양전용선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하림지주에 의해 인수되었다. 주력사업인 벌크화물 운송 서비스를 필두로 비벌크화물 운송 서비스(컨테이너화물 운송 서비스, 탱커선 서비스, LNG운송 서비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해상운송사업과 곡물사업 및 선박 관리업 등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처는 포스코, VALE,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SUZANO S.A.,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가스공사 등이 있다.
하림의 HMM 인수자금 마련을 위해 유상증자 할 것으로 예상되어 주가 하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56909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알테오젠
[21.02%, 6,489K, 5,495억]
[섹터: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항체약물 융합(ADC) 기술등을 활용한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개선하는 바이오베터 사업과 이머징 마켓을 타겟으로 아일리아, 허셉틴 등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하고 있다. 원천기술로 ADC 기술(NexMabTM),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NexPTM 융합 기술, 정맥주사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시키는 hybrozyme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대전 본사의 기업부설연구소가 품질경영시스템 국제규격인 iso9001 인증을 취득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