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DS단석
[300.00%, 1,040K, 4,014억]
[섹터: 폐배터리]
자원을 생산하고 소비한 후 폐기하는 선형 경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시 재활용하는 순환경제를 체계화하는 친환경 사업을 하고 있다. 사업의 특성에 따라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 플라스틱 리사이클 등 3개의 사업부로 운영된다. 바이오연료는 사용처에 따라 차량용(바이오디젤), 발전용(바이오중유), 선박용(바이오선박유)로 구분된다.
코스피 상장 첫날로 주가 상승
2. 삼화전자
[29.99%, 3,747K]
[섹터: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니켈]
페라이트 사업은 페라이트코어 및 MPC코어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연관산업으로는 IT 및 Display 시장, 친환경 전기자동차 시장 등이 있다. 2022년 하반기 기준 현대자동차 및 기아로 15종의 친환경 자동차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시장의 핵심부품인 LDC, OBC 변압기 및 인덕터, 필터의 고효율 LOW LOSS 재질 등을 개발했다.
중국 정부가 희토류의 가공기술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희토류 대체재로 꼽히는 '페라이트 관련주' 주가 상승
https://www.etoday.co.kr/news/view/2314844
3. 아이컴포넌트
[29.95%, 4,626K]
[섹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평판디스플레이용 부품 제조 및 관련된 연구 및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코팅부문에서 배리어코팅 필름제품과 일반 기능성코팅제품을 생산중이며, 압출부문에서는 도광판, PC Film, PMMA Film 등 광학필름을 생산하고 있다. 압출 도광판 분야에서는 꾸준하게 성장하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잇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다.
새로운 물질상인 네마틱 관련주로 주가 상승
아이컴포넌트는 카이럴 네마틱 액정을 이용한 반사형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12190549038622cd1e7f0bdf_23
4. 디티앤씨알오
[29.95%, 2,940K]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학물질 및 화장품 등 다양한 영역에서 비임상 및 임상시험에 용역을 제공하는 Full-Service CRO 기업이다. 의약품을 개발하는 제약사나 의료기기 제조업체, 건강기능식품 개발사 또는 연구기관으로부터 비임상과 임상시험을 위탁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객관적 시험 결과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효능 시험을 포함한 비임상시험 시장과 생물학적동등성(생동성) 및 1상을 포함한 임상시험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동훈 테마주로 주가 상승
재직 중인 이성규 이사가 한동훈 장관과 서울대 법대, 미국 컬럼비아 로스쿨 동문이라는 점
5. 파멥신
[29.83%, 12,509K]
[섹터: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의약품을 기반으로 물질신약을 연구, 개발하는 바이오 신약 연구개발전문기업이며, 그 가운데 유전자 재조합 의약품 중 항암 항체의약품을 주로 개발하고 있다. 국내외 제약사들과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그 과정에서 기술선급료 및 기술개발 지표를 달성할 때마다 이에 따른 마일스톤 로열티를 받는다. 완전인간 항체 개발기술, 이중표적항체 제조 원천기술, 암줄기 세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항체 제조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타이어뱅크의 인수소식과 외국인 연일 매수세로 주가 상승으로 추정
6. 아이티엠반도체
[29.78%, 1,161K]
[섹터: 아이폰, 2차전지(소재/부품)]
2차전지 보호회로 제품을 주력으로 하며 그 외 2차전지 배터리팩 및 센서 제품을 개발 및 생산 하는 회사이다. 향후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 시장 진읍을 준비하고 있다. NICE 기업진단에 속해있으며, NICE 기업진단은 동사를 포함하여 57개사로 국내법인 44대가, 해외법인 13개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슈 없음, 하락세에서 반등으로 추정
천만주 종목
1. 시노펙스
[11.07%, 20,562K, 1,257억]
[섹터: PCD(FPCB 등),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나노기술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멤브레인 필터 및 수처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여과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의 생산효율성 제고에 대한 솔루션 제공을 목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 IT 부품분야에 바탕이 된다. 2022년 말 기준 해외 생산법인 등 총 10개의 연결대상 종속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시노펙스바이오필터는 (주)오토코리아에 흡수합병되었다.
베트남 유치원에 정수시스템 기증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977605
2. 파라텍
[14.17%, 19,424K]
[섹터: 재난/안전(지진 등)]
제조업 및 전문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스프링클러 헤드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소방용 합성수지배관(CPVC), 밸브 등 시장을 선고하는 소방제품을 생산해오고 있다. 2023년 10월 적정 유통주식수 유지를 통한 주가안정화 및 기업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1주당 가액을 200원에서 500원으로 병합하기로 결정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 진압 특허 2건 등록으로 주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285344
3. 상신전자
[11.28%, 13,185K, 597억]
[섹터: 전자파, 페라이트]
가전제품의 전자파(Noise)를 제거 또는 감쇄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주력 제품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EMI 필터와 함께 원재료와 생산공정이 EMI 필터의 코일과 유사한 리액터 일부를 생산하고 있다. 가전기기, 신재생에너지 및 전장부품에 고효율 제품이 확대 적용될 경우 기존 EMI 필터 시장 외 리액터 시장이 성장할 것을 예상하고 신규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중국 정부가 희토류의 가공기술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희토류 대체재로 꼽히는 '페라이트 관련주' 주가 상승
4. 대동기어
[17.36%, 12,516K, 1,366억]
[섹터: 농업,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농업기계, 선박기, 원동기, 자동차, 공작기계기어 및 부품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고정 밀도의 고부가가치 상품 또한 개발하면서 신규 시장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대동과 포스코가 공동 개발 방식으로 리모콘 원격조정 로봇을 만들어 포스코 제철소에 투입할 계획에 주가 상승세 지속
5. 씨싸이트
[13.46%, 10,217K, 4,281억]
[섹터: 패션/의류]
니트 의류 제품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을 영위하며 갭(GAP), 에이치엔엠(H&M), 아메리칸이글(AEO)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대 고객사인 GAP 월별 벤더(Vendor)평가에서 국제 최고 2위를 기록하는 등 제품납기 준수 및 품질 분야에서 우수상을 인정받았다. 현재 인도네시아 과테말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 세계 43개국에 수출을 하고 있다.
전일 코스닥 상장 첫날로 주가 상승세 지속
6. 와이즈버즈
[-9.40%, 39,749K, 670억]
[섹터: 광고]
동사는 RTB 매체(페이스북, 구글 등)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모바일 광고의 기획, 공급효과분석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광고주를 대신하여 해당 광고의 전략에서부터 광고 집행, 관리, 분석, 이슈 대응, 기술적 지원, 광고 소재 제작 및 데이트 등 디지털 광고 전 과정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 기아를 메인으로 하고 있는 이노션(현대 자회사)은 동사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사 중 하나이다.
전일 틱톡샵 이슈로 주가 상승 후 하락분으로 추정
7. 하림
[-13.03%, 38,008K, 1,679억]
[섹터: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핌, 월드컵 등), 육계]
사업부문 중 육계가공 및 사료제조업 등 사업부문 일체를 단순 인적 분할하여 신설된 회사다. 주요 사업으로 양계 및 양계 가공업, 사료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위탁 사육, 부화, 종계업, 농산, 수산, 축산판매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종속회사인 HBC는 원종계, 종계 사육을 통한 종란을 생산하고 하림애니멀클리닉은 동물성 의약품 도소매를 담당한다.
HMM 인수 후 자금조잘 부담에 주가 하락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77729
8. 씨씨에스
[-12.63%, 19,451K]
[섹터: 초전도체]
방송법에 의거하여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종합유선방송사업을 영위하는 것에 대한 승인을 득한 방송사업자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등을 포함해 지역내 가입자에게 자가 전송망을 통해 케이블 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종합유선방송사업 부문 이외에도 각종 지역행사 유치, 국내 및 해외 테마여행사업, 프로그램 컨텐츠 유통 등 신규 사업을 진행하여 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초전도체에 대한 실망감으로 매도세 나왔지만 외국인 및 기관이 저점으로 인식해서 매수했다고 판단
9. 하이드로리튬
[-16.54%, 16,659K, 1,308억]
[섹터: 재난/안전(지진 등), 태풍 및 장마]
토목자재 부춤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22년 10월 리튬플러수에 인수되어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 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했다.
신주인수권 행사로 주식이 발행되면서 주가 하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21550
10. 디에스앤엘
[-35.39%, 14,052K]
디지털 셋톱박스 전문 기업으로 설립했다. 2022년 법원의 회생절차 종결에 따라 회사명을 기존의 주식회사 포티스에서 주식회사 디에스앤엘로 변경하고 회생종결 조건인 물류업체 (주)대성로지스를 2022년 4월에 인수했다. 물류 회사로 주사업이 변경되어 화물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상장폐지 결정으로 인해 정리매매로 주가 하락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삼화전기
[24.00%, 5,760K, 1,128억]
[섹터: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
삼화니찌콘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이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해 콘덴서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제품의 특성별로 전해콘덴서, 전기이중층콘덴서, 칩전해콘덴서, 하이브리드콘덴서 등 제품군으로 구별하고 있다. 종속회사인 삼화텍콤(주)는 인도네시아 현지공장인 PT.SAMHWA INDONESIA(보유지분 100%)를 설립하여 트랜스포머, 파워인덕터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계열사 삼화전자가 희토류 수출금지 이슈로 상한가에 들어가면서 함께 주가 상승
2. 레뷰코퍼레이션
[20.16%, 5,266K, 947억]
[섹터: 광고]
매칭플랫폼(REVU)을 통화여 광고주에게 최적화된 인플루언서를 추천하여 캠페인을 진행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문기업이다. 2023년 3분기 기준 나노 및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레뷰 플랫폼(REVU KR) 관련 매출은 연결 기준 매출의 약 72.1%를 차지한다. 매크로, 메가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레뷰셀렉트(REVU Select)의 매출은 약 1.6%를 차지하고 있다.
틱톡샵 한국 진출 이슈로 관련주가 영향을 받아 주가 상승
3. 가온칩스
[19.79%, 5,644K, 3,321억]
[섹터: 온디바이스 AI, 시스템반도체]
삼성 파운드리의 공식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로서 삼성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고자 하는 팹리스 고객사에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팹리스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웨이퍼 형태의 반도체칩을 조립하고, 테스트하여 최종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여 공급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스템 반도체 회로설계 부분까지도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솔루션에 포함하고 있다.
245억 규모의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를 수주하고, 56억 규모의 주문형 반도체 시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693
4. 엑시콘
[15.90%, 9,149K, 1,669억]
[섹터: 반도체 장비]
사업부문은 반도체 장비 제조이며, 반도체의 성능 및 신뢰성을 검사하는 반도체 검사장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반도체 제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불량의 원인 분석 등을 통해 설계 및 제조 공정상의 수율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비메모리 제품으로 검사대상을 확장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SoC Platform을 구축하였고, 이를 발판으로 시스템 반도체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CXL 2.0 테스터(Tester) 개발을 내년 1분기 중에 완료할 것으로 발표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312220425308814cd1e7f0bdf_23
5.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
[15.44%, 1,266K, 593억]
Laminar Wash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세포 분석 공정을 자동화하고 재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궁극적으로 세포 분석의 글로벌 표준 플랫폼 제시를 통해 관련 분야의 기술 선도와 당사 제품 판매 확대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일 기관 매수세로 주가 상승 추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