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디티앤씨
[30.00%, 7,049K, 622억]
[섹터: 원자력발전, 드론(Drone)]
전자파 시험인증 사업을 하기위해 설립되었다. 시험인증사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으로 정보통신기기, 의료기기, 자동차 전장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 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주항공, 원자력, 선급, 방위산업 분야로 사업 영역 확장을 추진 중이다. 환경 시험을 전담하는 시험 센터를 설립하여 신규 사업 진출에 수반되는 모든 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설비 역량을 구축하고 있다.
한동훈 테마주인 디티앤씨알오와 함께 상승세 지속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020443129769cd1e7f0bdf_23
2. 동신건설
[29.99%, 2,905K, 617억]
[섹터: 건설 중소형, 조림사업]
토목, 건축, 주택건설, 문화재공사 등을 주력사업으로 하는 경북 지역의 종합건설업체이다. 주요 사업으로 공공시설, 관공서, 상업용 건물, 아파트, 관람집회 시설, BTL사업 등의 건축사업, 일반토목, 도로, 교량, 지하철, 상하수도, 농업, 스포츠 레저단지 등의 토목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주택건설, 조경공사, 전기공사, 소방공사, 수질오염방지시설, 문화재수리 등을 수리하고 있다.
이재명 테마주로 이재명 피습소식에 주가 상승
동신건설은 이재명 대표의 고향인 경북 안동시에 소재해 정치테마주로 편입되었다.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40102500206
3. 현대비앤지스틸
[29.98%, 5,033K, 899억]
[섹터: 철강 중소형, 비철금속]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시장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수의 열연사로부터 원재를 조달하고 탄력적인 재고 운영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표면 및 강종, 고급 소재 등을 활용하여 판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주요 매출처 비중은 내수 87%, 수출 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수의 경우 유통 매출이 60%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업체인 성림첨단산업이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현대비앤지스틸은 성림첨단산업의 최대주주이다.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4883
4. 태영건설우
[29.98%, 587K]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신청으로 주가가 폭락했으나 주가 저점으로 판단해 매수세가 들어오고 정부가 태영건설 회생과 건설 및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신속대응반 TF를 구성하는 등 사태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관심을 받음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02/2024010202072.html
5. 픽셀플러스
[29.97%, 6,584K, 558억]
[섹터: 카메라모듈/부품, 보안주(물리)]
이미지센서 및 카메라 모듈 개발, 제조 및 공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13년 보안 카메라 시장 점유율 1위, 차량용 Camera SOC를 연구개발 하고 있다. CMOS 이미지센서의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이며, CMOS이미지 센서의 웨이퍼 및 패키지 공정을 위탁 제조하여 판매하는 Fabless회사이다. 당기말 현재 주요 제품의 매출 비중은 센서 84.5%, 기타 15.5%으로 구성되어있다.
삼성전자가 이미지센서에 인공지능(AI)를 탑재하는 '온센서 AI(On sensor AI)' 기술 상용화에 나선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1021112286240780
6. 티와이홀딩스우
[29.97%, 244K]
태영건설이 티와이홀딩스로부터 1,133억원 차입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22484
7. 고바이오랩
[29.96%, 1,054K]
[섹터: 유전자 치료제/분석,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사업과 가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신약 개발 플랫폼인 Smartiome(스마티옴)을 구축하였고,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후보물질 발굴에서부터 임상시험 및 제품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자체 수행할 수 있다. 2023년 4월, KBLP-007(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의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2a 임상 시험 계획을 승인 받았다.
면역 및 대사 파이프라인에 대한 글로벌 특허들이 등록 결정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8761
8. 셀트리온제약
[29.93%, 4,970K, 5,583억]
[섹터: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KGMP, cGMP, EU-GMP 적격업체로, 충북 진천과 오창에 생산 및 품질 관리시설을 갖추고 40여개의 전문의약품을 생산하고 잇으며, 다양한 제품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다. 주력제품 고덱스는 기존 간질환치료제인 헤파디프와 DDB제제의 배합비율을 찾아 2상, 3상 임상 실시로 5년 끝에 개발했다. 바이오시밀러 국내 독점판매권과 유통권을 확보함으로써 기존 케미컬의약품과의 시너지 확대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셀트리온 3사 합병 절차가 공식화되어 주가 상승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38054
9. 골든센츄리
[29.93%, 96,936K]
[섹터: 국내 상장 중국기업, 농업]
중국 내 실질 영업회사는 강소금세기(주제품: 트랙터용 휠, 트랙터 완성차)와 금세기차륜(주제품: 트랙터용 휠)이며, 트랙터 휠의 생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휠 제품은 중국의 주요 트랙터 생산업체인 제일트랙터, 상주동풍, 강소워드, 서주카이얼 등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강위"라는 브랜드를 통해 시장 내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8월부터 트랙터 완성차 디마치(Dimachi)를 생산, 판매 중이다.
별다른 이슈 없음, 차트상 저점 다진 후에 외국인 매수세 들어오면서 상승한 것으로 추정
10. 3S
[29.88%, 28,385K, 869억]
[섹터: 반도체 재료/부품, 여름]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사업과 환경장치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종속회사인 상해삼에스공조기술 유한공사는 환경시험장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사업은 반도체 주재료인 실리콘 웨이퍼를 운송할 때 사용되는 웨이퍼 이송박스를 생산하는 사업이며 모든 전자 기기의 핵심 부품이다.
올해 반도체산업 패권을 좌우할 핵심 기술로 칩렛(chiplet)이 꼽히면서 과거 칩렛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이력이 있던 3S가 이번에도 또 상승함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3133171
11. 아스트
[29.77%, 1,152K]
[섹터: 항공기부품]
항공기 부품 제작, 항공기 부분품 조립 및 관련 치공구류의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우수한 연구 및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항공기 기체부품을 기술 개발, 제조하여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다. 종속회사 (주)에이에스티지는 당사의 수주제품인 항공기용 조립부품 및 치공구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처 확대를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채권단과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이 체결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상승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91515
12. 소룩스
[29.76%, 25K]
[섹터: LED]
조명기구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력제품은 LED등, 형광등, 실외등이며, 사업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건설사 납품뿐만 아니라 B2C, B2G, 에너지사업, 해외사업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터널 등은 한국도로공사(ESCO사업 포함) 구매 사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조명품목군으로, 동사는 ESCO사업을 통한 한국도로공사 시장에 2019년부터 본격적 진입하여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보통주 1주당 14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한 소식에 주가 상승세 지속
천만주 종목
1. 씨엑스아이
[17.80%, 71,232K]
[섹터: 국내 상장 중국기업]
중국 내에서의 건강식품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다. 충초, 금선련, 종용, 쇄양과 같은 상품과 무이산차2#, 무이산차1#과 같은 선물세트와 같은 제품이 있다. 수출입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와 온라인 마케팅을 사업영역으로 하는 자회를 설립하고, 기존 유통채널의 다변화 및 신규 브랜드의 유통을 담당하여 매출 다변화를 하고 있다.
특별한 이슈 없음, 차트상 저점에서 바닥다지고 상승한 것으로 추정
2. 파라텍
[16.11%, 58,646K, 1,018억]
[섹터: 재난/안전(지진 등)]
제조업 및 전문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스프링클러 헤드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소방용 합성수지배관(CPVC), 밸브 등 시장을 선도하는 소방제품을 생산해오고 있다. 2023년 10월 적정 유통주식수 유지를 통한 주가안정화 및 기업가치제고를 목적으로 1주당 가액을 200원에서 500원으로 병합하기로 했다.
일본에서 대지진 발생으로 관련주들이 주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980710
3. 제주반도체
[21.90%, 24,147K, 3,677억]
[섹터: 휴대폰부품, 화이자(PFIZER)]
휴대폰 등 모바일 응용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전문 파운드리회사에 위탁 생산을 하고 있다. 통신장비와 사물인터넷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일종인 '멀티칩패키지'에 주력하고 있다. 매출액 중 NAND MCP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종속회사로 반도체메모리 IC개발회사(램스웨이)와 복권중개회사(아이지엘)가 있다. 복권판매 자회사인 동행복권은 연결 제외되었다.
올해 온디바이스AI가 주식시장에서 큰 테마로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어 관련주 상승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030602165368cd1e7f0bdf_23
4. 메이슨캐피탈
[16.63%, 20,554K]
자금대출, 팩토리 금융 등 부수업무 포함한 시설대여업(리스), 신기술사업금융, 할부금융업, 여신성 금융업, 기타투자업 등을 영위 중이다. 기존 저마진 리스영업 위주 사업구조에서 탈피하여 고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업시장을 발굴해나가고 있다. 2021년 4월 최대주주가 변경되며 대체 투자, 신기술금융, 사모펀드 운용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IB 전문 캐피탈사로의 전환을 진행하고 있다.
아리바이오가 현재 진행중인 경구용 알치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의 글로벌 임상3상 'Polaris-AD'유럽 임상시험 신청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지속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
메이슨캐피탈은 아리바이오에 투자를 하고 있다.
5. 에이비프로바이오
[12.48%, 17,741K]
[섹터: 공작기계, 모더나(MODERNA)]
2019년 8월 상호를 주식회사 유지인트에서 주식회사 에이비프로바이오로 변경했다. 공작기계의 한 분류인 머시닝센터(MCT) 등을 제작하는 금속절삭기계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다. 소형급을 전문으로 제작 공급하고 있다. 2019년 10월 미국 Abpro사가 연구개발중인 ABP-100과 ABP-201에 대한 지적소유권 및 이를 이용한 신약개발 및 사업화 권리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셀트리온의 3사 합병 소식으로 함께 주가 상승
에이비프로바이오는 관계사 에이비프로코퍼레이션을 통해 셀트리온과 이중항체 항암제 공동개발을 진행중이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10214003667905
6. 아미노로직스
[11.61%, 16,789K]
[섹터: mRNA(메신저 리보핵산)]
2009년 회사의 상호가 에이로직스에서 아미노로직스로 변경되었다. 원료의약품 유통사업부문, 아미노산 사업부문, IT사업부문(기타)으로 구분되어 있다.
아미노시아닌을 활용한 암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030533138931cd1e7f0bdf_23
7. 태영건설
[13.17%, 14,561K]
[섹터: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폐기물처리]
동사와 동사의 계열회사는 건설사업부문, 레저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에서 영업활동을 하고 있다. 건설사업부문에는 토목환경, 플랜트, 건축, 주택건설 제품 및 서비스를, 레저사업부문에는 자동차 경주장, 호텔, 콘도, 카트 경기장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다. 임대 사업부문에는 부동산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타 사업부문에서는 자산관리 및 운영 등을 하고 있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신청으로 주가가 폭락했으나 주가 저점으로 판단해 매수세가 들어오고 정부가 태영건설 회생과 건설 및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신속대응반 TF를 구성하는 등 사태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관심을 받음
8. 에스유홀딩스
[20.29%, 13,589K]
[섹터: 치매]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제조 및 유통(ICT)사업 및 전자담배, 화장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수출입을 포함한 유통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및 바이오코스메틱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업을 하고 있다. 종속회사로 에이모션, Neurosona America, Inc. 뉴로소나, 이스트로젠, 리온시스템 등을 보유하고 있다. 소비자의 구매의 부담을 덜기위한 소유권이전형 개인PC렌탈사업, PC방복합리스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뇌 질환 치료 전자약 개발 전문기업 뉴로소나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주가 상승
뉴로소나는 에스유홀딩스의 자회사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35868
9. 네오셈
[18.47%, 13,105K, 1,172억]
[섹터: 반도체 장비,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 주사업은 SSD 검사장비와 MBT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글로벌 SSD 검사장비 M/S 1위 기업으로 글로벌 SSD 상위 제조사에 모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 주력제품은 4세대 SSD 검사장비이며, 5세대 SSD 검사장비의 기반기술을 이미 확보한 기술 선도 기업이다.
인공지능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CXL이 새로운 D램 규격으로 주목 받으면서 관련주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781
10. 하이드로리튬
[14.42%, 11,447K, 929억]
[섹터: 태풍 및 장마, 재난/안전(지진 등)]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22년 리튬플러스에 인수되어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 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다. 신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여 2022년 기준으로 특허 20건, 실용신안 1건, 디자인 18건은 소유하고 있다.
일본에서 대지진 발생으로 관련주들이 주가 상승
11. 네오리진
[-8.01%, 22,088K]
[섹터: 모바일게임(스마트폰), 게임]
2012년 정보보안솔루션 개발 및 판매회사인 (주)정보보호기술을 흡수합병했다. 사업 부문은 정보보안사업부문과 게임사업부문으로 구분되었다. 정보보안사업에서는 유선보안부문(TESS TMS), 무선보안부문(TESS AIRTMS)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게임사업부문에서는 2021년 한중합작 방치형 RPG 게임인 'Idle Angels: 여신전쟁'을 출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전일 1688닷컴의 국내 진출을 추진한다는 이슈로 전일 주가 상승했으나 조정으로 추정
12. 디에스앤엘
[-57.69%, 12,658K]
디지털 셋톱박스 전문 기업으로 설립했다. 2022년 법원의 회생절차 조건에 따라 회사명을 기존의 주시고히사 포티스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회생종결 조건인 물류업체 (주)대성로지스를 2022년 4월에 인수했다. 물류 회사로 주사업이 변경되어 화물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상장폐지 결정으로 인해 정리매매로 주가 하락세 지속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엑시콘
[19.44%, 9,926K, 2,207억]
[섹터: 반도체 장비,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반도체 장비 제조이며, 반도체의 성능 및 신뢰성을 검사하는 반도체 검사장비 사업을 하고 있다. 반도체 제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불량의 원인 분석 등을 통해 설계 및 제조 공정상의 수율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비메모리 제품으로 검사대상을 확장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SoC Platform을 구축하였고, 이를 발판으로 시스템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CXL이 새로운 D램 규격으로 주목 받으면서 관련주 상승
2. 에이텍
[17.09%, 6,653K, 1,008억]
[섹터: 사물인터넷]
LCD 디스플레이 응용제품을 제조,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녹색기술인증을 받은 절전형 PC 및 LED 모니터, 굿디자인 수상슬립형 PC, 금융모니터 및 엘리베이터 DID 등을 개발한 기술력 및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사업부문 및 기타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용 PC 및 모니터 시장을 주 타겟으로 하고 있다.
이재명 테마주로 이재명 피습소식에 주가 상승
최대주주인 신승영씨가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 시절 성남창조경영 최고경영자(CEO) 포럼의 운영위원직을 맡았다는 이유로 테마주로 분류되었다.
3. 퀄리타스반도체
[16.19%, 5,159K, 2,366억]
[섹터: 시스템반도체]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반도체 디자인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다.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SoC 개발사 및 디자인하우스 등을 대상으로 IP 라이센싱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다수의 IP를 양산함에 따라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초미세 반도체 공정인 FinFET 공정에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서의 개발 및 양산 이력을 확보하고 있다.
인공지능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CXL이 새로운 D램 규격으로 주목 받으면서 관련주 상승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