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SUN&L
[29.92%, 1,936K]
[섹터: 조림산업, 리모델링/인테리어]
목재 부문과 가구 부문으로 사업분야가 분류되어 있다. 목재부문은 합판, MDF, 제재목, PB를 취급하고 있고, 가구부문은 목창호, 인테리어, 건가구 등을 건설사로부터 수주받아 시공하고 있다. 2021년에는 자회사 다린을 흡수합병하면서 생활용품 부문이 추가되었다. 플라스틱 포장용기 펌프 디스펜서와 손소독제 등을 생산 및 유통하고 있다. 목재 부문 제품 점유율은 합판 17.4%, MDF 16.6%이며, 생활용품 부문의 제품 점유율은 약 64%이다.
자산재평가 실시 결정을 공시하면서 자산의 실질가치 반영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한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ajunews.com/view/20240116151415697
2. 인탑스
[29.86%, 7,119K, 2,648억]
[섹터: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부품]
IT디바이스, 자동차 부품 제조, 프린트 ASS'Y 제조, 가전제품 ASS'Y 제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부문은 2016년 7월 신규 인수한 미래 법인과 국내 구미사업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구미사업장 및 인탑스 천진법인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에 가전제품 내/외장애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제조 품목은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케이스이다.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인 '봇핏'의 B2B 시제품과 관련해 최종 조립 및 생산을 맡았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8197
3. 자이글
[29.86%, 2,297K]
[섹터: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의료기기]
웰빙가전제품 선도기업 세계 최초의 적외선 조리기기 특허로 자체브랜드 ZAGLE을 론칭했다. 2018년 물류센터와 R&D센터를 신축하여 기술 및 유통 플랫폼을 완비했으며, 자체쇼핑몰 확장해 온라인 전 채널 입정을 통해 내수를 강화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활발한 수출을 진행중이다. '자이글 슈퍼', '자이글 세븐' 및 '매직프라이어'까지 출시하며 주방 가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했다.
LFP 배터리 모델을 중심으로 한 양산 시스템 구축 및 배터리 성능 평가를 통해 사전 품질을 확보했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1347
4. 한미사이언스
[29.79%, 12,532K, 6,340억]
[섹터: mRNA(메신저 리보핵산), 지주사]
사업형 지주회사로서 자회사의 지분이익, 특허권 및 상표권 사용료 수입, 계열사 관리 등을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신약개발의 리스크 분담, 중장기 비전 수립 등에 매진하고 있다. 연결회사의 영업부문은 지주부문, 의약품도매부문, 기타부문으로 구성되었다. HMP몰과 같은 온라인 거래 플랫폼과 300여명의 약국 영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전국 약국에 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경영권 분쟁 조짐에 주가 상승
인성기 한미약품 창업주의 장남 임종윤 한미약품 사장이 한미약품그룹과 OCI그룹의 통합 결정에 반발하면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1161449117870983
천만주 종목
1. 에이스테크
[11.28%, 57,966K, 1,671억]
[섹터: 통신장비, RFID(NFC 등)]
에이스테크놀로지에서 인적분할해 에이스안테나로 설립후, 에이스테크놀로지와 분할합병을 통해 현재 사명으로 변경했다. 사업분야는 모바일 네트워크 관련 장비사업으로 기지국 안테나, 기지국용 RF장비, 모바일 디바이스용 안테나 그리고 RF 커넥터 등이다. 신규사업으로 레이더, 유도무기체계, 위성통신, 데이터링크 등의 방산용안테나 부문에 2008년부터 개발업체로 참여하여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6세대(6G) 이동통신 투자를 늘릴 것으로 전망되어 통신주 상승세 지속
2. 빅텍
[12.30%, 51,615K, 2,935억]
[섹터: 자전거, RFID(NFC 등)]
방위사업(전자전 시스템 방향탐지장치, 군용전원공급장치, 피아식별장비, TICN 장치 및 기타 방산제품 등) 및 민수사업(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U-BIKE) 등)을 영위하고 있다. 전자전시스템 방향탐지장치는 동사의 주요 제품이며, 기존의 방향탐지장치(SONATA)와 더불어 소형전자전장비(ACES-1)를 별도 개발 완료했다.
북한에 계속되는 도발에 방산주 주가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846
3. 디모아
[13.09%, 32,013K]
[섹터: 증강현실(AR)]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유한회사의 상업, 교육, 공공, 클라우드용 총판, ADOBE의 교육용과 상업용 총판, (주)안랩의 상업용 총판, Unity, PTC 총판으로서 UC, CC제품 등 하드웨어를 판매하고 있으며 그 외에 Zoom, Tableau 소프트웨어를 유통 판매했다. 또한, 소프트웨어 판매 회사인 종속회사 디모아를 2022년 3월에 흡수합병했다.
애플이 비전프로 출시와 관련해 유니티와의 동맹을 맺은 점이 부각되어 주가 상승세 지속
디모아는 유니티 홈페이지에 등재된 국내 3개의 파트너사 중에 유일한 총판사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117086a
4. 케이엠더블유
[16.88%, 18,479K, 3,297억]
[섹터: 통신장비, LED]
무선통신장비 전문 제조 기업이다. 동사 및 종속회사는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사업과 스포츠조명, 실외조명, 실내조명 등을 생산, 판매하는 LED조명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당기말 현재 11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 중이며, RF사업은 5G투자에 따른 수주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6세대(6G) 이동통신 투자를 늘릴 것으로 전망되어 통신주 상승세 지속
5. 그린케미칼
[8.72%, 17,147K, 1,488억]
[섹터: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석유화학]
한국포리올로부터 2003년 물적분할로 설립된 화학제품 제조업체이다. EOA, ETA, DMC, AM 등의 화학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기타 화공약품 등 상품을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국내 EOA 부문 시장점유율 21%, ETA 부문 시장점유율 54%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AM은 현재 20,000M/T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면서 국내 제 2위의 AM 생산능력을 보유 중이다.
온실가스 배출권을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한 법률이 의결되면서 관련주 주가 상승세 지속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160556525337cd1e7f0bdf_23
6. 동국산업
[21.46%, 16,384K, 934억]
[섹터: 풍력에너지, 철강 중소형]
냉연강판가공 및 판매, 무역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자회사인 신안풍력발전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주력제품인 냉연 특수강의 주수요산업은 자동차 산업이 80% 이상을 차지하며, 산업기계는 10%대를 유지하고 있어 자동차 산업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산업기계는 10%대를 유지하고 있어 자동차 산업의 경기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았다. 매출은 냉연강판 49.01%, 칼라강판 29.6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별다른 이슈 없음, 바닥권에서 횡보하다가 거래량 증가하면서 주가 상승
7. 한국석유
[9.40%, 16,356K, 2,503억]
[섹터: 자전거,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가공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한국석유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국내 블랙아스팔스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는 아스팔트 사업과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제품을 가공/판매하는 합성수지사업이 주요 사업이다. 그 밖에 석유화학상품 및 스포츠용품 등의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후티반군의 순항미사일을 미군이 격추시켰다는 홍해 불안감 고조로 유가, 석유 관련주 주가 상승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0357
8. 위지윅스튜디오
[10.33%, 15,783K, 641억]
[섹터: 증강현실(AR), 메타버스(Metaverse)]
모태는 CG/VFX, VR, AR 등 영상 콘텐츠에 투입되는 영상 기술 전문회사이나 지속적인 M&A와 파트너쉽 체결을 통해 '종합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승리호> 등 국내외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업계 내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확보 중이다. 메타버스 사업모델 개발/상용화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별다른 이슈 없음, 외국인 매수세 들어오면서 주가 상승에 영향
9. 에브리봇
[11.95%, 15,776K, 2,605억]
[섹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지능형 로봇의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며, 현재 자율주행 깃술에 기반한 로봇청소기의 개발과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 EDGE 모델은 우수한 성능과 가격경쟁력으로 2019년 출시 이후 국내 로보청소기 시장점유율 3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다. Amazon US, Qoo10 등을 통해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하여 해외 온라인 시장 진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 '봇핏' 상용화 기대감에 로봇주 주가 상승세
https://biz.sbs.co.kr/article/20000153017?division=NAVER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동원산업
[25.76%, 2,643K, 1,035억]
[섹터: 수산, 구제역/광우병 수혜]
동원엔터프라이즈와의 합병을 통해 동원그룹의 지주회사가 되었으며 동사의 지주부문 영업수익은 계열회사에 대한 용역서비스 매출 및 상표권 사용수익 그리고 IT부문 매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S/ST 생산용 선망선과 PS 생산용 참치 선망선에서 횟감용 참치를 생산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증대했다. 주력 자회사들이 전반적으로 안정된 사업기반을 바탕으로 양호한 영업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주주환원을 위해 자사주 3,300억을 소각하기로 했으며, 이는 발행주식의 20%의 규모로 국내에서는 이례적이라는 소식에 주가 상승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