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가 종목
1. 웰킵스하이텍
[30.00%, 2,183K]
[섹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반도체 재료/부품]
2001년 코스닥에 상장한 IT 부품 설계/제조 전문기업으로서 Driver IC 반도체 설계, DDI 패키징, 전기자동차 부품, 자동차용 무선충전 및 전장부품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다. 문등크로바전자유한공사, 산동크로바전자유한공사 등 3개 회사를 연결 대상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DB글로벌칩, LX세미콘, BOE, 현대모비스, LG이노텍, 한솔테크닉스, MOLEX, 폭스바겐 등이 주요 거래처이다.
주식 감자로 인해 지난달부터 이어져온 거래정지가 풀리면서 상한가
2. 인터플렉스
[29.96%, 10,227K, 1,495억]
[섹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이다. 베트남에 위치한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했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로 영풍전자, 비에이치 등이 주요 경쟁사이다. 현재 고객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CAPA 증설 투자를 진행하는 등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갤럭시링 및 XR 기기 출시 분위기에 대신증권에서 '매수'의견을 제시해 주가 상승
https://www.newswell.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92
3. 매커스
[29.96%, 12,674K, 1,716억]
[섹터: 태양광에너지, 시스템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인 PLD 반도체(FPGA 반도체)와 아날로그 반도체 등을 기술영업을 통해 판매하고 기술지원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업체이다. 사업은 AMD(자일링스(XILINX)), 르네사스(RENESAS), 메이콤(MACOM) 등 세계적인 반도체 전문회사들의 제품을 국내에 들여와 기술영업을 하는 반도체 유통업체이다. 개발 파트너로서 기술지원(반도체 회로 설계)을 하고 같이 제품을 개발한 후 반도체를 판매하고 있다.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신개념 메모리 PIM 본격화 소식 속 AMD 자일링스의 파트너사인 점이 부각되어 주가 상승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1191020086650941
4. 이스트소프트
[29.90%, 4,092K, 1,405억]
[섹터: 게임, 보안주(정보)]
사업부문은 인터넷 S/W사업, 인터넷포털 사업, 자산운용업, 커머스 사업, 인터넷게임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I사업 등을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 동사와 주요 종속회사의 사업영역은 유틸리티(알툴즈 등), 보안(알약), 포털(줌닷컴), 게임(카발) 등이 있다. 2023년 3월 올인원 투자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뷰'를 출시하는 등 기존 인터넷 포털 사어보가 함께 핀테크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
실시간 대화형 인공지능(AI) 휴먼 서비스 '페르소 라이브' 공개에 주가 상승세 지속
천만주 종목
1. 시그네틱스
[17.52%, 44,0033K, 602억]
[섹터: 시스템반도체, DMZ 평화공원]
미국 Signetics Corporation의 전액투자로 외자도입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으로 설립 등록되었다. 반도체 패키징업(테스트포함)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제조 과정 중 후공정에 속하는 산업이다. Advanced SiP Module 제품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양산 infra를 확보 및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반도체 패키지인 Recon플립칩 양산 infra를 확보했다.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및 온디바이스 AI 테마 상승 분위기에 주가 상승
2. 제주반도체
[23.53%, 38,373K, 9,519억]
[섹터: 휴대폰부품, 화이자(PFIZER)]
휴대폰 등 모바일 응용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전문 파운드리회사에 위탁 생산하고 있다. 통신장비와 사물인터넷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일종인 '멀티칩패키지'에 주력하고 있다. 매출액 중 NAND MCP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종속회사로 반도체메모리 IC개발회사(램스웨이)와 복권중개회사(아이지엘)가 있다. 보권판매 자회사인 동행복권은 연결 제외하고 있다.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및 온디바이스 AI 테마 상승 분위기에 주가 상승
3. KTcs
[15.43%, 35,390K, 1,416억]
2001년 케이티의 114번호안내서비스 사업이 분사하여 설립되어, 현재 KT 컨택센터, 오픈마켓 컨택센터, 114사업, 유통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매출은 KT고객센터 운영, 컨택센터 사업, 114번호 안내, 우선번호 안내, KT상품위탁판매, 그 외 교육사업, 컨설팅사업 비통신 상품판매 등의 사업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연결회사로는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가 있다.
AI 스타트업 '모레'가 자체 개발한 LLM 'MoMo-70B'가 세계 최대 AI 플랫폼 허깅페이스의 평가에서 1위에 올라 지분투자를 진행한 KTcs의 주가 상승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1191312252930102
4. 휴림로봇
[14.29%, 28,795K]
[섹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3D 프린터]
산업용 및 지능형 로봇 생산업체로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하고 있다. 산업용로봇(제조업용로봇) 및 지능형로봇(서비스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방용 로봇, 기타 신규사업 등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동사가 생산하는 제조업용 로봇은 직각좌표로봇, 수평다관절로봇, 데스크탁로봇, 반도체용로봇, 리니어스테이지 등이 있다.
한동훈은 '함께하는 AI의 미래' 공공부문 초거대 AI 활용 추진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AI 산업 증진을 위한 공약 등의 발표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AI 관련주 상승
https://www.fnnews.com/news/202401200842092751
5. LS네트웍스
[24.84%, 22,627K, 1,120억]
[섹터: 패션/의류]
LS그룹 내에서 소비재 부문 핵심 기업이며, 주요 사업은 브랜드 사업과 유통 사업, 임대 사업이 있다. 브랜드 사업은 'PROSPECS' 브랜드를 통한 신발, 의류, 용품 등의 상품을 대리점 및 직영점, 백화점 등의 다양한 유통 형태별로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임대사업은 'LS용산타워' 등 부동산으로 사무실 및 상가, 창고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입지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시현 중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의 대주주가 지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G&A)에서 LS네트웍스로 바뀌게 된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cwn.kr/news/articleView.html?idxno=23899
6. 드림어스컴퍼니
[23.63%, 19,587K, 702억]
[섹터: 여름, 음원/음반]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음반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아티스트 MD, 공연사업,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및 인공지능 스피커 제조/판매 등을 영위했다. 디바이스 부문은 음향기기(고음질 오디오 재생기기, 고급형 리시버 등)와 가전기기(로봇청소기 등), 영상기기(블랙박스 등) 등 제품 라인업을 보유했다.
음악플랫폼 플로(FLO)가 올해부터 출시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신형 E클래스에 탑재된ㄷ다는 소식에 주가 상승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9697
7. 알루코
[16.84%, 19,354K, 644억]
[섹터: 2차전지, 비철금속]
현대알루미늄, 알루텍, KPTU, 현대알루미늄 VINA 등의 계열사로 구성된 알루코 그룹의 주력 계열사이다. 한국/베트남의 주조/압출/CNC/피막 등 최신 일관 생산 체제와 지속적 R&D 투자를 통해 고부가가지 산업용 부품 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디스플레이/모바일 등 전자부품소재, 방화창/커튼월 등 창호제품, 자동차 경량화부품/철도차량 경량화부품/선박 LNG저장탱크 모듈/솔라 등 친환경 부품소재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별다른 이슈 없음, 기관 및 외국인 매수세로 인한 주가 상승으로 추정
8. 신송홀딩스
[13.27%, 15,939K, 1,440억]
[섹터: 지주사, 음식료업종]
'신송식품홀딩스'를 흡수합병하면서 존속회사는 '신송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하여 현재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순수지주회사로서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외법인을 포함하여 4개의 자회사(신송식품, 신송산업, Singsong(HK), Singsong Global Singapore Pte)를 보유했다.
홍해 무력 충돌로 인한 식량주 부각으로 주가 상승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180548478282cd1e7f0bdf_23
9. 깨끗한나라
[15.90%, 15,582K, 533억]
[섹터: 제지, 출산장려정책]
동사는 제품의 제조, 사용자 종류 등에 따라 PS(Paper Solution)사업부와 HL(Home & Life)사업부로 구분하여 사업을 하고 있다. PS사업부는 주로 포장재로 사용되는 백판지(산업용지, 식품용지, 특수용지 등)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HL사업부는 두루마리 화장지류, 미용티슈류, 기저귀류, 생리대류, 물티슈류, 마스크, 손소독제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총선 앞두고 여야에서 저출생 공약 발표로 관련주 상승
10. 이삭엔지니어링
[13.92%, 12,468K, 1,471억]
[섹터: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반도체, 전자, 철강, 중공업, 발전, 제약/바이오, 2차전지 등 제조 산업 전반에 걸쳐 공장 자동화 솔루션 공급을 영위하고 있다. 산업자동화 솔루션, 디지털 팩토리 솔루션, 산업용 IoT 플랫폼 등 3개의 주력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산업자동화 솔루션은 지멘스로부터 PLC, DRIVE 등 하드웨어 장비를 매입하고 동사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결합하여 솔루션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구성되었다.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및 온디바이스 AI 테마 상승 분위기에 주가 상승
11. 한컴위드
[12.60%, 11,351K]
[섹터: 보안주(정보),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전자상거래의 보안 인프라를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금융기관, 대기업 등 현재 1,050여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2018년 스마트시티 관제 플랫폼 회사인 한컴엔플럭스의 지분을 취득하고, 블록체인 솔루션 및 플랫폼을 출시하며 블록체인과 스마트 시티 중심의 플랫폼 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019년 디지털포렌식 사업을 영위하는 한컴지엠디와의 합병을 완료했다.
AI테마가 계속 부각되면서 주가 상승세
12. 와이아이케이
[11.36%, 10,373K, 655억]
[섹터: 반도체 장비]
고속 메모리테스터 검사장비 제조 공급업체로서, 주요 제품으로는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등이 있다. 주요 제품인 반도체용 웨이퍼 테스터는 칩의 불략 정보를 정확히 취득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하며, DRAM 및 3D-NAND에 적용되는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셀 단위로 전수 검사한다. 매출구성은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 82%, 전지전자부속품 11%로 이루어져있다.
TSMC 호실적 영향 지속 및 온디바이스 AI 테마 상승 분위기에 주가 상승
15%이상 상승 및 거래대금 500억 이상
1. 플리토
[23.75%, 4,396K, 2,162억]
[섹터: AI챗봇(챗GPT 등)]
주요사업은 언어 데이터 판매 및 플랫폼 서비스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말뭉치(crpus)를 집단지성 및 검수 과정을 거쳐 정체, 이후 언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국가 연구기관 또는 IT 산업 내 기업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다. 데이터 판매, 플랫폼 서비스, 기타 지급수수료등 지급수수료와 포인트 비용을 원재료로 인식, 따라서 생산설비 등을 통한 재고자산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GPT스토어 관련주로 플리토는 언어 데이터 판매 및 플랫폼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다는 이슈가 지속
2. DS단석
[16.75%, 721K, 1,706억]
[섹터: 폐배터리, 2023 하반기 신규상장]
자원을 생산하고 소비한 후 폐기하는 선형 경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시 재활용하는 순환경제를 체계화하는 친환경 사업을 하고 있다. 사업의 특성에 따라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 플라스틱 리사이클 등 3개의 사업부로 운영된다. 바이오연료는 사용처에 따라 차량용(바이오 디젤), 발전용(바이오 중유), 선박용(바이오 선박유)으로 구분된다.
바이오디젤 세대 교체가 주목되면서 주가 상승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401190307329033cd1e7f0bdf_23
댓글